위로가기 버튼

봄비 내리던 날에

등록일 2023-05-31 18:09 게재일 2023-06-01 16면
스크랩버튼
윤명희 수필가
윤명희 수필가

새벽부터 내린 비가 종일 갈 것 같다. 주말에 겹벚꽃 보러 우리 동네에 온다고 했는데 비에 다 떨어져 버리면 어쩌나. 연거푸 터져 나오는 기침을 팔뚝으로 막는다. 까똑 소리에 폰을 확인하니 꽃 볼 생각에 벌써 마음이 들뜬다는 영숙씨가 톡에 음악을 올렸다. 클릭하자 바이올린에 실린 이문세의 목소리가 빗속에 스며든다. 기침이 음악을 덮친다.

지난 주말에 딸네에 갔다. 기껏해야 일 년에 두어 번 가는 길이 기차의 연착으로 더 멀었다. 이제 괜찮아졌다고 하더니 온 집안이 아직도 감기 중이었다. 오전에 수액까지 맞았다는 딸은 목안이 부어 반가움조차 손짓으로 했다. 손자들의 기침 소리만이 온 집안을 콩콩 뛰어다니고, 먼저 기운을 차렸다는 사위가 저녁준비를 하고 있다. 며칠 손이 가지 않은 욕실에는 머리카락이 흩어져 있고 싱크대에는 음식물 쓰레기봉투가 비스듬히 벽을 기대고 있다.

나는 모과차를 끓여 널브러진 딸에게 건넸다. 뜨거움이 목을 적시자 기침이 잠시 멈추는 것 같더니 다시 쇠 긁는 소리를 냈다. 잠시나마 편히 쉬게 방문을 닫아주었다. 열기가 다 식은 건조기에서 마른빨래를 꺼내 갰다. 도시의 공기가 매캐하다. 방과 거실에 있는 공기청정기를 분해해 씻고 청소기를 돌렸다. 손자는 내 꽁무니에 붙어 서서 아주 옛날에는 다섯 살이었는데 이제 여섯 살이 되었다고 자랑한다. 내 입은 웃는데 눈은 자꾸만 딸의 방에 들어갔다.

“서울 가니 딸이 감기 중이더라고. 나는 그걸 또 좋다고 가져왔네.”

한동안 꼼짝없이 아파야 할 것 같다는 말을 에둘러 단체 톡에 툭 던졌다. 폐를 쥐어짜며 나오는 기침이 목을 할퀸다. 내가 아픈데 겹벚꽃이 뭔 대수라고.

“그게 진정한 딸바보. 지금 우리 가족 전체도 일주일째 감기로 엄청 힘든데 나만 멀쩡, 코로나 때도 그랬고. 아빤 늘 말로만 딸바보지? 이땐 뭐라 해야 할까요? ”

P선생님이 내 의도와는 전혀 상관없이 나를 딸바보로 만든다. 나는 자식 바보와는 거리가 멀다. 밥벌이에 매여, 대학입학과 동시에 타지로 떨어져 나간 딸에게 반찬 한 번 보내지 못했다. 멀리 있다는 이유로 직장생활의 고단함도 결혼 준비도 딸이 알아서 해야 했다. 아들 연년생을 낳아 힘들어할 때 친정엄마라는 체면치레를 위해 겨우 시간을 냈을 뿐이다.

음악을 올린 영숙씨의 답 톡이 올라온다.

“아빤 늘 말로만 딸바보지? 저도 우리 아빠한테 이런 말 한 적이 있는데~ 깜놀~ 그때마다 우리 아빠는 방금 우리 딸내미 뭐 하는지 생각했는데 라고 하셨어요.”

톡 방이 한참 조용하더니 다시 그녀의 얘기가 뜬다.

“에고고~ 딸바보 이야기하시는 통에 아빠 생각이 나서 찔끔찔끔 울다가 통곡합니다. 아침에 할 일도 많은데 눈물이 멈추질 않네요. 이런…. 그래서 적당한 게 좋은 듯요. 저도 우리 딸이 너무 예쁜데 나중에 저 없으면 마음 아플까 봐 혼자만 좋아하고 적당히 하고 무심한 듯 넘어가네요. 딸은 섭섭하겠지만.”

그녀가 지금 비와 함께 울고 있다. 다른 이들의 눈물 이모티콘이 여기저기 올라오고, 저마다의 부모 얘기가 한마디씩 뜬다. 가슴을 푹 찌른다. 나는 다시 음악을 클릭한다. 조금 전에 듣던 것과는 음색이 다르다. 물 먹은 이문세의 목소리가 눈을 찌른다.

“한없이 사랑하고 그래서 한없이 그리워하고, 또 펑펑 울고. 모든 게 다 아름답습니다. 그냥 마음이 시키는 대로 다 표현하며 삽시다. 나중은 또 그 때 가서 감당이 되겠지요.

역시 어른이신 P선생님이 달랜다. 음악은 흐르고 우리는 말이 없다.

딸에게 전화가 왔다. 잠긴 내 목소리에 화들짝 놀란다.

“엄마가 내꺼 가지고 갔구나, 그래서 내가 괜찮아졌나보네”

그래, 내가 그거라도 해 줄 수 있어 얼마나 다행이니. 잠시, 나도 딸바보가 되는 순간이다. 기침이 딸에게 다시 갈까봐 얼른 폰을 끈다. 톡 방은 눈물 이모티콘 사이로 비가 내려 고요하다. 겹벚꽃이 떨어져도 괜찮겠다. 꽃은 벌써 우리들 마음에 앉았으니.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