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위기단계 관심→주의 상향 조정…방역상황실 운영<br/>긴급백신접종, 우제류 사육농가·차량·시설 소독 및 임상예찰 강화
지난 10일부터 지난 15일까지 충북 청주시(6건, 혈청형 O형)와 증평군(1건, 혈청형 O형) 한우 농가에서 구제역이 잇달아 발생함에 따라 경부도가 구제역 유입방지를 위해 차단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정부는 구제역이 2019년 1월 발생한 후 약 4년 만에 발생됨에 따라 위기관리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했으며, 이에 경북도는 16일 바이러스 유입방지를 위한 선제적인 방역체계 가동을 위해 지난 2월말 종료됐던 ‘구제역 방역상황실’ 운영을 재개키로 했다.
‘구제역 방역상황실’은 농축산유통국장을 상황실장으로 경북도, 동물위생시험소, 시·군, 방역지원본부, 농협이 상황반별로 구성, 24시간 비상체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경북도가 구제역에 대한 전화예찰을 실시한 결과 현재 경북에서는 특이사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 사육(2만호, 85만두)이 전국에서 가장 많고, 돼지도(674호, 143만두) 전국에서 3번째로 많은 현 상황을 고려해 경북도는 차단방역 등 구제역에 총력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농식품부에서는 16일부터 20일 까지 전국 소, 돼지, 염소 사육농가에 긴급백신 접종 명령을 발령함에 따라 경북도는 전업농가(소 50두 이상, 돼지 1천두 이상)에 대해 구제역 예방백신 자가 접종을 독려하고, 고령 농가와 소규모농가 중 자가 접종이 어려운 농가에는 공수의를 동원해 긴급백신접종(생후 2개월 미만 개체와 2주 이내 출하가축은 접종 제외)한다. 다만, 접종 후 3주가 경과되지 않은 개체는 해당기간에 접종하지 않고 3주 경과시점에 재접종한다.
또한, 우제류 사육농가 및 도축장 등에 소독을 강화하고, 소규모농가에는 축협의 공동방제단 등 소독차량(133대)을 총 동원해 집중소독을 실시하고 전업농은 자체 소독 실시 및 축산농가에는 행사와 모임을 자제하고, 농가 출입 시 가축, 사람, 차량 등에 대해 소독을 철저히 실시한 후 기록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아울러 축산 관계자와 가축의 이동이 많은 가축시장 중 충북과 인접해 있는 상주 가축시장은 지난 12일부터, 문경 가축시장은 15일부터 자체적으로 잠정 휴장에 들어갔다. 이 외 가축시장은 타 도 가축상인들이 가축시장에 출입하는 것을 최대한 통제하고, 가축시장에 출입하는 차량에 대해서도 소독을 철저히 하고 있다.
김주령 농식품유통국장은 “도내 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농가에서도 내 농장은 내가 지킨다는 마음으로 백신접종과 소독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며 “구제역 의심 증상 확인을 위해 매일 관찰하고 이상이 있을시 즉시 관할 시·군 또는 1588-4060으로 신고해 달라”고 말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