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심하게 스트레스받는 일 있으셨어요?”
의사의 말에 고개를 저으려다가 퍼뜩 정신이 들었다. 그간 얼마나 무수한 질문에 괜찮다고 답했던가. 특히 직장에서 그랬다. 상사의 무례한 언사를 웃어넘겼고 부당한 요구를 묵묵하게 받아냈다. 상황을 불편하게 만들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문제를 제기하면 응당 피곤한 일이 생기기 마련이었다. 나만 입 다물면 된다고 마음을 다잡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 되뇌었다. 다 이렇게 산다고. 힘들다고 말하는 건 유난이라고.
“힘들면 힘들다고 말하는 게 좋아요.”
나는 ‘그렇게까지 힘들진 않았다’며 흐흐 웃었다. 몸 여기저기가 망가졌다는 진단을 들으면서도 생판 남의 이야기를 듣는 것처럼 느껴졌다. 위경련으로 응급실을 들락거리고 염증 때문에 수술하면서도 나는 왜 이렇게 유난인가 하며 스스로를 탓했다. 기질적으로 예민하고 타고난 체력이 약하다는 것이 원망스럽게만 느껴졌고 내가 어떤 면을 회피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었다.
그도 그럴 것이 나는 또래 친구들보다 늦게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문학을 공부한다는 핑계로 오랜 시간 학생으로 머물렀고 세상과 직접 부딪히며 관계 맺는 일보단 책상 앞에 앉아 읽고 끼적이는 시간이 더 길었다. 현실을 살아내려고 하니 몸이 아픈 것이라고 밖엔 설명할 수 없었다. 엄살 부리는 것이라는 혐의를 피하기가 어려워 보였다.
“그런 생각이 병을 깊어지게 하는 주범이에요.”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사의 조언이었다. 다른 생각은 불필요했다. ‘몸이 아프다. 그러니 푹 쉬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만이 사실이었다. 이유를 덧붙이게 되면 그 일은 어떤 방식으로든 왜곡되는 것이고 그러다 보면 교묘하게 본질에서 벗어나기 마련이었다.
특히 어떠한 결과에 따른 책임을 자신에게 돌리는 건 건강하지 않은 방법이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정확하게 구분해야 했다. 능력 이상의 것을 붙잡으려고 애쓰는 것은 현명하지 않았다. 어떤 일을 해내야 한다고 막연하게 외치는 것보다 눈앞에 놓인 것에 최선을 다하되 그것이 원하는 대로 흘러가지 않아도 가뿐하게 털어내는 것. 어렵지만 평생에 걸쳐 훈련해야 할 인생의 과제였다.
긍정과 낙관으로 세상을 살아가면 많은 것이 술술 풀릴 것이라고 믿던 때가 있었다. 이해할 수 없는 인물을 이해하려는 마음이 소설 쓰기의 시작이라고 외쳤지만 도저히 사랑할 수 없을 것 같은 사람을 만나면 마음이 괴로웠다. 이상과 현실의 간극은 도저히 채워지지 않았고 스스로가 위선자처럼 여겨졌다. 항상 그랬다. 나를 가장 열심히 괴롭히는 사람은 나 자신이었다.
올해는 몸과 마음의 건강을 돌보겠다고 결심했다. 그 어느 때보다 몸이 아팠던 시간, 나는 나의 어려움을 알고 도와주는 사람들의 다정함을 경험했고 그러한 선의가 늘 내 곁에 있었다는 사실에 새삼스럽게 놀랐다.
평소였다면 침대에서 절대 벗어나지 않았을 오전 열 시에 노트북을 챙겨 들고 밖으로 나왔다. 자주 가는 카페에 들러 감자수프를 주문했다. 수프는 예쁜 그릇에 정갈하게 담겨 나왔다. 한눈에 봐도 오랜 시간 정성으로 끓인 것이었다. 숟가락으로 떠서 꿀꺽 삼키자 뱃속 깊은 곳까지 따끈따끈해지는 것이 느껴졌다.
그리고 기사를 통해 아이돌 가수의 비보를 접했다. 전날 새벽에 벌어진 일이었다. 감히 그런 생각을 했다. 알 것 같다고. 영영 끝나지 않을 것 같은 터널 속에서 헤매는 감각. 그건 최근의 내 상태와 비슷했다. 두 눈을 감고 그의 얼굴을 그렸다. 상실감은 뱃속을 데워주는 수프의 온도와 전혀 어울리지 않았다.
모두 건강했으면 좋겠다. 몸도 마음도. 그렇게 생각하면서 고개를 들었다. 창밖으로 거리를 지나가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보였다. 동시에 햇볕을 머금고 반짝이는 나뭇잎이 눈에 들어왔고 초여름이 가까워져 온다는 실감이 들었다. 잎사귀 사이로 부서지는 빛과 파도처럼 일렁이는 나무 그늘을 바라봤다.
나는 앞으로 몇 번의 계절을 지날 것이며 그때마다 무수히 아프고 슬플 것이다. 그럴 때마다 오전 열 시의 찬란함과 온 몸에 퍼지던 감자수프의 온기를 떠올리겠다. 이토록 사소한 하루가 생을 버티게 하는 달콤한 위안이 된다는 것을 이젠 조금 알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