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적인 사람이 되고 싶다. 정확히 말하자면 낭만을 지향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실은 그 전까진 낭만은 현실적이지 못한 것, 지나치게 감정적이거나 감상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낭만이란 어린이의 허무맹랑한 상상력에 가까우며 오히려 현실을 지나치게 부정하고 외면하는 이들이 꿈꾸는 꿈처럼 보였다고 해야 할까.
지난날의 나는 삶을 비관적인 것으로 대했다. 때때로 좋은 일이 생기기도 하지만, 좋은 일이 일어나는 것보다 좋지 않은 일이 더 큰 크기로 찾아올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늘 다가올 불행에 대처하기 위해 겸손한 태도도 생을 대했다. 좋은 운이 찾아와도 차분함을 유지하려 불운 쪽으로 몸을 기울였고, 불운이 찾아올 때는 고통이 지나갈 때까지 슬픔으로 깊게 잠겼다.
실은 나는 우울감을 쉽게 느끼는 본성을 지녔지만, 우울에서 금방 빠져 나와 다시금 씩씩하게 살아가는 편이다. 우울 속을 옅게 부유하다 다시 수면 바깥으로 나와 유유자적 수면 위를 헤엄치는 쪽이라고 해야 할까.
과연 인간은 어디까지 악해질 수 있는지 인간의 이면을 보며 무기력하게 방바닥을 기어 다니다가도 바깥 산책을 하면 금방 눈을 반짝이고 만다. 대가 없는 친절과 배려, 그리고 오랜 기간 묵묵히 선을 지향하는 이들을 마주하면, 그래 세상엔 좋은 사람이 더 많은 것이라고 고갤 끄덕이며 다시금 용기를 얻는다.
하지만 작년 한 해의 나는 지나치게 무기력했다.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나서부터 모든 의욕을 잃었다. 사소한 일 하나하나에도 너무 많은 신경과 노력을 쏟아버린 탓일까. 쓸쓸하게 타 버린 성냥처럼 또 다른 쓸모를 찾아야 한다는 생각에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허망해했다.
도피와 외면을 일삼다 결국 아무것도 모르겠는 상황이 와버렸을 땐, 내가 택해버린 건 잠이었다. 하루 온종일 잠의 뿌리를 내리는 동안 나를 질타하는 이도 회피하는 이도 있었으나 나를 깨우기 위해 현관문을 두드리는 이가 있었다. 자주 집에 찾아와 잠을 깨우고 밥을 먹이고 산책을 하며 심심한 농담과 함께 주말 약속을 잡던 고마운 사람이다.
나의 우울은 같은 크기를 지닌 우울이 나를 알아보고 진정 나를 이해해줄 수 있으며, 슬픔은 슬픔을 구원할 수 있다 여겼으나 실은 슬픔은 아무것도 구원할 수 없다.
외려 깊은 슬픔은 옆에 있는 이를 슬픔의 늪으로 깊게 끌고 들어갈 뿐이다. 슬픔에 처한 타인의 심정을 공감하고 헤아릴 순 있겠으나, 타인이 지닌 슬픔은 온전히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관문을 두드려 나를 깨우던 이에게도 타인을 절대 구할 수 없다는 또 다른 외로움만을 안겨줄 뿐, 그렇게 계속 실패로 기록되는 관계는 머지않아 단절된다. 마치 정해진 공식처럼.
외로움은 정신적 고통이 지속되는 일이고 깊고 복잡할수록 타인에게 이해 받고 회복될 수 없다는 걸 안 순간 한결 삶이 편해졌다. 외로움은 인간이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겪는 고행이자 의무로 여기니 삶을 즐길 수 있는 여유와 낭만에 대해 오히려 시선이 갔다. 삶을 무턱대고 비관하기보단 유연하게 대처하며 세상의 긍정적이고 밝은 면도 궁금해졌다고 해야 할까.
요즘은 일상의 낭만을 더하는 데에 기쁨을 느끼고 있다. 쓸모없을수록 의미 또한 부재할수록 좋다. 꽃 한 다발을 사서 책상 위에 올려두는 것, 작은 꽃의 이름을 익히는 것, 서점에서 즉흥적으로 골라온 시집을 사서 읽는 것,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나라의 여행 계획을 짜는 것, 계절마다 제철 음식을 먹기 위한 일정을 짜는 것, 프로틴 쿠키나 그릭 요거트 바 만들기 등 크고 작은 이벤트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동안 일상은 더 디테일해졌고 행복으로 가까워졌다.
4일 전에 사온 꽃이 금방 머리를 숙여 시든다고 하더라도, 도무지 시를 이해할 수 없더라도, 제철음식을 먹기 위해 많은 시간과 돈, 수고가 들더라도 마음의 결은 더 촘촘해지고 부드러워진다.
5월에는 놀이공원을 갈 것이고 6월엔 오사카와 교토 여행을 간다. 주말에는 다시 러닝을 하면서 몸에 좋은 음식을 만들어 먹기 위한 레시피를 뒤적인다. 이 모든 걸 즐기기 위해선 또 일을 해야 한다. 건강히 일하며 일상의 낭만을 계속해서 발견하고 누리는 삶, 이렇게 적어 놓고 나니 현재 나의 모습이 꽤 마음에 드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