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한국공항공사·경북대 협약<br/>관광형 UAM 상용화 우선 추진<br/>공항 활성화·모빌리티 구축 나서<br/>대구시, 오늘 UAM 산업 포럼<br/>모빌리티 부품 기업군도 형성
경북도와 대구시가 미래 교통수단인 UAM(도심항공이동)산업 육성과 이를 활용한 다양한 항공 모빌리티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경북도는 ‘관광형 UAM 상용화’ 우선 추진에 앞장 서면서 공항 활성화와 UAM을 활용한 항공 모빌리티 구축 사업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경북도는 12일 도청에서 한국공항공사, 경북대학교와 함께 도내 공항 활성화와 신공항 건설·운영 협력 강화, 경북형 도심항공교통(G-UAM) 기반조성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경북도는 신공항 건설·운영과 항공노선 확충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과 경북형 도심항공교통(G-UAM)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를 지원한다. 한국공항공사는 도내 신공항 건설 운영에 경북도와 협력, UAM 버티포트 건설과 교통관리시스템 구축 및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버티포트(Vertiport)는 ‘수직(vertical)’과 ‘공항(port)’의 합성어로 UAM 기체가 수직 이착륙할 수 있는 공간을 뜻하며, UAM 상용화에 필수적인 핵심 인프라다.
경북대학교는 UAM 산업육성을 위한 기술개발과 전문인력 양성 및 정책 지원에 힘을 쏟는다.
경북도는 우선 울릉도를 대한민국 도서관광의 핵심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에 맞춰 울릉도를 하나의 테마파크처럼 입도에서 출도의 전 과정을 통합 연계하는 MaaS 시스템을 구축한다.
MaaS(Mobility as a Service)는 항공기, 렌터카 등 교통수단 및 숙박관광산업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 연계하는 서비스다.
도서지역 특성을 고려한 내국인 면세점 도입과 취항 소형항공사 지원을 통해 도서 및 내륙공항 동시 활성화를 추진하고, 도내 공항에 지역 인재 채용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경북의 우수한 역사·문화 자원과 백두대간, 낙동강, 동해안 등 풍부한 자연환경에 UAM을 접목한 경북형 운영 모델도 개발한다. 이를 위해 도내 주요관광지를 잇는 관광형 UAM을 우선적으로 상용화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한국공항공사는 공항 건설·운영 및 버티포트 등 UAM 인프라 구축에 경쟁력을 갖고 있어 도내 공항과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항공 모빌리티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도내 주요 관광지에 관광형 UAM 인프라 조성뿐만 아니라, 응급·재난과 교통오지 주민이동을 위한 공공형 서비스 네크워크 등 경북에 특화된 UAM 기반도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시도 13일 국회에서 강대식·이인선 의원과 함께 ‘UAM 지역 시범서비스 및 산업육성 전략’에 관한 포럼을 개최, 내륙거점도시로 UAM 지역시범사업 가능성을 타진한다.
이날 포럼에 참여하는 전문가의 공통된 의견은 대구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에 서 있고 그 발전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전망하고 있다.
대구∼경산∼영천으로 연결되는 산업벨트를 형성해 전국 모빌리티 생산의 19.7%를 차지할 정도로 탄탄한 모빌리티 부품 기업군을 형성하고 있어 UAM 사업으로 전환에 유리하다는 결론이다. 이어 전국 최고의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를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자율차와 UAM을 연결한 통합교통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인프라를 보유한 도시라는 것이 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특히 대구경북신공항은 설계 단계부터 UAM과 항공이 공존하는 교통 허브 구축이 가능해 시범도시부터 상용화, 특화도시 조성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대구 지역 내에서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이 최대 강점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UAM은 미래 도심교통의 핵심으로 대구경북신공항 건설과 연계해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며 “우리 대구가 UAM 시대를 앞서 열어갈 수 있도록 힘을 모아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창훈·이곤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