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다리가 앙상하다. 바람 한 점 붙들 힘조차 없다. 겨울바람이 팔과 다리 사이로 쌩쌩 지나간다.
남산 산행을 마치고 내려오는 길, 양옆으로 서있는 나무들이 한결같다. 하나같이 헐벗은 노인의 몸피 그 자체다. 예수나 석가모니가 저런 모습이었을까. 탁발승의 모습이다. 아! 모두 다 내려놓고 서있는 나무가 고행하는 성자 같다.
나무가 서 있는 길가를 벗어나면 들판은 바람소리로 가득하다. 날아온 까마귀 떼들이 낟알을 주워 먹는지 전선위에 앉았다가 떼로 몰려와 논을 새까맣게 수놓는다. 저들도 주린 창자를 채우기 위해 가벼운 몸피로 수십 킬로를 날아다닌다. 겨울의 풍경이 마음을 헤집고 들어온다.
다 버리지 않고 어찌 가벼워 질까. 허공을 날아야하는 새들의 숙명이다. 저 가벼움을 위해 부리로 씨앗을 쪼아 먹고 적으로부터 도피하기 위해 더 빨리 나는 생존을 몸속 깊이 유전(遺傳) 받았을 새. 새들도 나목처럼 뼛속을 비워 겨울을 난다. 지나가는 구름 한 조각은 새 위에 얹힌 그림자로 상상의 새처럼 크다. 그것 또한 가볍기만 하다.
새는 자유를 찾아 난다지만 서있는 겨울나무는 제 뿌리로 단 한 보를 옮기지 못한다. 그래도 살아남아 내일로의 순환으로 이어져 갈 것이다. 바람이 사지를 흔들며 멱살을 잡고 비가 온몸을 적셔도 살아남는 것이 목적이다. 그 무엇이 자신을 훑고 지나가도 변함없는 것으로는 나무만 한 것이 있을까.
장기유배지를 다녀왔다. 우암 송시열과 다산 정약용이 머물던 포항 장기 유배지인 장기숲(장기임수)을 보았다. 한양에서 천리나 떨어진 외진 곳이다. 그 곳에는 송시열이 심은 은행나무가 자라고 있다. 다산이 머물던 곳에는 유림(儒林)인 느릅나무 숲이 있었다. 우암은 가정과 향당과 조정에서 예의염치(禮義廉恥)를 실천한 참 선비였다. 큰 눈으로 보면 그가 추구한 세상은 의리가 존중되고 예의가 넘쳐나는 아름다운 문명의 세상이었다.
“…. 아득하여라, 정말 아득하여라 처음도 끝도 찾을 수 없는 미명의 저편은 나의 눈물인가 무덤인가 등잔불 밝혀도 등뼈 자옥이 깎고 가는 바람소리 머리 풀어 온 강진 벌판이 우는 것 같구나.” 는 유배지에서 보내는 정약용의 편지의 부분이다. 두 거장이 내 몰린 곳에서 나무는 귀향 살이 하던 그들의 마음처럼 세상의 고뇌로 메말라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메마른 삶을 산다는 것은 힘들다. 정년을 앞둔 직장생활은 편치 않다. 활기차고 진취적인 젊은 날과는 달리 경기의 후반을 뛰는 선수처럼 승부에 마지막 온 힘을 부어 스스로를 태울 수밖에 없다. 얼마 전 수강했던 인생 재설계 과정이 생각난다. 백세시대, 즐거움이 아니라 두려움으로 다가온다. 삶의 욕망과 집착을 접어 몸과 정신을 가볍게 비워내야 오늘과 내일을 살 수 있다.
내일을 채울 또 다른 준비는 젊은 날과는 다른 생각과 대책이다. 좀 더 깊어진 인생의 연륜을 이용해서 지혜롭게 내일을 만들어야 한다. 주위에 서서히 정년을 맞아 자신의 의자를 뒷사람에게 물려주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늘어나는 노인의 숫자와 더불어 실버가 실버를 간호하는 세상이 왔다. 젊은 노인세대가 세상의 빈 곳을 채울지도 모른다.
어느 날부터 꽃과 잎을 다 털어낸 겨울나무가 좋아졌다. 자신을 향해 깊게 파고들어 기도하는 저 나무가 나의 저변에 깔린 손톱크기 밖에 안 되는 자존심과 깜냥을 비웃는 듯하다. 단단함과 고요함으로 나를 일깨운다. 수묵화처럼 배경과 나무색만으로도 그 깊이를 짐작할 명작(名作)이다.
추사의 세한도는 귀양길에서 만난 자신의 감정을 잘 드러낸 그림이다. 그 당시 제주도에 유배를 간 그에게 제주도라고 덜 추웠으랴.
이번 겨울은 조금 더 춥다. 나이가 주는 사회적 한계를 체감한다. 나이만큼 무거워지는 여건은 저 겨울나무가 묵언처럼 제시하는 침묵(沈黙)과 구도(求道)만이 답이 아닐까. 창밖으로 보이는 겨울나무가 오늘 아침, 안부를 묻는다.
“그대, 오늘도 안녕하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