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軍작전’ 국방부發 뜻밖의 암초 영일만대교 건설 고난의 여정

이창훈 기자
등록일 2022-11-07 20:19 게재일 2022-11-08 1면
스크랩버튼
이철우 지사, 도정질의 답변서<br/>“軍, 아직까진 반대 입장 완강<br/>  타 부처와는 계속 협의 진행 <br/>  계획 수정하더라도 꼭 조율” <br/>  대통령공약으로 힘 실었지만   <br/>  결론 도출은 쉽지 않을 전망

경북 동해안의 숙원사업인 영일만대교 건설이 국방부의 반대로 장기 표류하고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 지역 국회의원 등이 ‘군사 작전을 하는데 지장이 있다’며 반대 입장을 표명한 군 당국을 상대로 영일만대교의 필요성을 설득해 왔으나 전혀 입장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열린 경북도의회에서 이 문제가 지적됐고, 이철우 지사는 당초 계획에 수정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이날 경북도의회 손희권 의원(포항)은 도정질문에서 경북 동해안 주민이 열망하고 있는 영일만대교 현안 사항 대책과 국방부의 입장, 경북도의 대책을 물었다.

이에 답변에 나선 이철우 도지사는 “영일만 대교는 동해안주민의 숙원사업으로 도지사 취임이후부터 줄곧 관심을 갖고 성사시키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현재는 국방부가 군 작전상(함정의 진출입 등)에 문제가 있는 등으로 반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방부는 반대의 입장이 강하지만 국토부 등 다른 부처와는 원만히 협상이 진행되는 만큼, 계획을 조금 수정하더라도 대교를 건설하기 위해 총력을 쏟겠다”고 덧붙였다. 즉 해군을 비롯해 국방부는 영일만대교가 건설될 경우 고도제한으로 인해 군 작전수행이 지장이 되는 만큼 대교건설 반대에 완강한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영일만 횡단대교는 추후 정치권을 비롯해 국방부, 해군, 합참 등 군관련부처와 더욱 심도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는 등 결론이 쉽게 나지는 않을 전망이다.

경북의 최대 숙원사업인 영일만대교 건설은 윤석열 대통령후보자의 대선공약으로 윤석열정부가 들어서면서 가속이 붙었다. 또 포항이 지역구인 국민의힘 김정재 국회의원(포항 북구)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하반기 여당 간사로 선임되면서 분위기가 더욱 좋아졌다. 영일만 대교 건설의 시급성은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된 후 포항을 다시 찾은 자리에서도 언급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당선 직후인 지난 4월 포항을 찾아 이철우 경북지사로부터 영일만대교 건설 관련 브리핑을 들은 뒤 건설 시급성을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대선 당시 공약에서 ‘경북·대구의 새로운 도약을 약속한다’는 슬로건으로 경북지역 첫번째 공약으로 영일만대교 건설을 약속했으나 예산문제보다 군 작전수행의 문제로 난항에 부딪혔다.

영일만대교는 포항시 남구 동해면~북구 여남동까지 연결하는 총 길이 18㎞(해상교량 9㎞, 접속도로 9㎞)의 국책사업으로 1조6천189억원(국비 6천476억원, 한국도로공사 9천713억원)의 국비가 투입된다. 지난 2011년 11월 국토교통부가 건설을 결정했지만 같은해 12월 기재부의 총사업비 변경으로 보류된 상태다. /이창훈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