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응천, 道 국감서 이철우 지사에 <br/>“홍준표 시장과 제대로 소통하나”<br/> 통합신공항·군위편입 협치 주문<br/> 李 지사 “조율할 시간 조금 필요” <br/>“포항 냉천 관리 부실이 피해 키워”<br/> 태풍 ‘힌남노’ 대응 질타도 쏟아져
17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북도 국정감사에서 대구시와 경북도의 불협화음이 지적됐다. 또 대구경북연구원 분리문제와 환경오염원으로 지목받고 있는 봉화 석포제련소 이전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이날 조응천(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현안마다 이철우 지사와 홍준표 대구시장이 의견차를 보이니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경북도는 여러 지표상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군위군 편입, 대구경북통합신공항 등 대구와 협력을 통해 풀어가야 할 문제가 많은데 민선 8기 임기를 시작하고 홍준표 시장과 협력,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가“라고 질의했다.
이어 “권영진 전 시장과는 적극적으로 대구경북행정통합을 추진해 공론화위원회까지 꾸렸는데, 홍 시장은 취임 이전부터 (이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내왔다. 취임 직후에도 기자 간담회를 통해 ‘행정통합은 넌센스’라고 말했다. 너무 급한 걸로 보이는데, 논의가 된 건가. 또 취수원 이전 문제도 그렇다. 마치 트럼프를 보는 것 같다. 진중하게 생각하는 맛이 없다”며 말했다. 31년간 함께한 대구경북연구원 분리도 대구시와의 불협화음이 원인이 아닌가라고 질문했다.
이에 이철우 지사는 “(행정통합은)논의가 전혀 없었다. 불협화음이 있었던 건 아니다”고 답했다.
또 대구경북연구원 분리와 관련 “대구경북연구원 분리는 이와 전혀 상관없다. 연구원이 머리인데, 거리가 멀다 보니 만나기가 어려웠다. 앞으로 연구 중심이 돼야 하는데, 도지사가 연구원을 만나기가 어려우니 분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지사는 “(대구시와의 협치에 대해)조금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다. 도청 직원들 보고도 일일이 (대구시에 대해) 대꾸하지 말라고 했다”며 “싸우면 안 되지 않느냐”고 답했다.
조 의원은 경북의 경우 2021년 기준 가구소득 5천104만원으로 17위 꼴찌, 2020년 기준 1인당 개인 소득 1천979만원으로 16위, 고령인구 비율 2022년 8월 기준 2등 등 ‘경북이 처한 현실’이라는 발표 자료를 근거로 들며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대구와 경북은 하나가 돼야 하는데 이 지사가 먼저 손을 내밀고 설득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지사는 “홍 시장하고 관계는 좋다. (홍시장이) 처음 와서 정책 발표를 다 했으니, 도에서는 싸움하면 안 되니, 시간을 갖고 나중에 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행정 제도 중 가장 잘못된 게 직할시 제도였다”며 “도시를 중심으로 주변이 발전되는 걸 도시 하나를 떼버리니까 직할시는 시대로, 도는 도대로 어려워졌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부·울·경 800만, 호남 500만, 대구·경북 500만, 충청도 500만 이렇게 통합을 해야 수도권과 대응을 하고, 지방자치를 실현할 수 있는 옳은 지방자치가 된다”며 “행정안전위원회가 법안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항시 남구 오천읍 냉천에 대한 사전 관리가 부실해 태풍 힌남노 때 인명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김교흥 의원은 “경북도가 두 번이나 (냉천 관련) 감사를 하고 지침을 포항시에 준 걸로 아는데 잘 안됐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조금만 손을 썼으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미 2012년 냉천 기본계획 변경 보고서에는 냉천 중ㆍ하류 지역은 주거밀집 구간이며 일부 제방은 높이가 낮아서 관리가 요구된다고 돼 있다”고 밝혔다. 또 “2018년 경북도 감사에서는 (범람을 막기 위해) 시설물 설치를 최소화하라고도 했다”며 “앞서서 하천정비사업을 할 때 취수를 더 중심으로 진행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그런 문제도 있었지만 쏟아진 비를 감당하지 못해 사고가났다는 생각도 든다”며 “포항시가 감사 결과를 이행했지만, 그 후에 전달이 안 된 사업이 있었던 거 같다”고 답했다.
한편, 이날 오전 포항냉천유가족협회의 관계자들은 경북도청 앞에서 태풍 힌남노로 발생한 대규모 인명·재산피해와 관련해 관계 당국의 고강도 감사를 촉구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