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李 “균형발전, 필수적 국가 과제 TK권 등 메가시티 현실화할 것”

박형남기자
등록일 2022-09-28 19:23 게재일 2022-09-29 3면
스크랩버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br/>  4년 중임제 위한 ‘개헌특위’ 제안<br/>  민생 해결 비전 ‘기본사회론’ 제시<br/>  尹 대통령 순방 외교 논란 관련<br/>“제1당 자격 책임 분명히 물을 것”<br/>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28일 “국가균형발전은 시혜나 배려가 아닌 국가의 존속과 지속발전을 위한 필수과제”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부울경, 충청권, 광주·전남, 대구·경북권의 메가시티 구상을 현실화하겠다”며 “수도권 1극체제를 5극체제로 다변화하고 제주, 강원, 전북을 특별자치도로 만들어 5극 3특 체제로 재편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또 지방소멸 대응을 강조하며 5대 돌봄 국가책임제, 비정규직 공정수당제, 40만원 기초노령연금, 선택적 모병제, 정년연장 확대, 생활동반자제 도입과 ‘인구위기 초저출생 대책 특별위원회’ 구성 등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의 순방 외교를 둘러싼 논란을 겨냥해 “제1당으로서 이번 외교참사의 책임을 분명히 묻겠다”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의 영미 순방은 이 정부의 외교 수준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며 “조문 없는 조문외교, 굴욕적 한일정상 회동은 국격을 훼손했다. 전기차 차별 시정을 위한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논의와 한·미 통화스와프는 순방의 핵심 과제였음에도 꺼내지도 못한 의제가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국익 우선, 실용 외교의 원칙 아래 경제 영토 확장에 초당적으로 협력하되, 국익과 국가 위상 훼손에는 강력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이 이번 논란을 ‘자막 조작 사건’으로 규정한 것에 대해선 “책임을 국민과 언론, 야당에 뒤집어씌우려는 시도는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개헌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5년 단임제를 4년 중임제로 바꿔 책임정치를 가능하게 하고 국정의 연속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개헌 내용으로는 4년 중임제 외에도 결선투표 도입,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감사원의 국회 이관, 생명권·환경권·정보기본권·동물권 도입, 직접 민주주의 강화 등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대통령 임기 중반인 22대 총선이 적기”라며 “올해 정기국회가 끝난 직후 국회 내에 ‘헌법개정특별법위원회’ 구성을 제안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2024년 총선과 함께 국민투표를 하면 비용을 최소화하며 ‘87년 체제’를 바꿀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 정부의 국정 운영에 대해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시행령 통치를 바로잡고 국정을 정상화하겠다”고 비판했다.

민생 위기를 해결할 경제적 비전으로는 ‘기본사회론’을 제시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이 초래할 사회적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며 “이제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삶이 아니라 기본적인 삶이 보장되는 사회로 대전환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산업화 30년, 민주화 30년을 넘어 기본사회 30년을 준비할 때”라고도 했다. 국민의힘을 향해선 “국민의힘 정강정책 제1조 1항에도 기본소득을 명시했다”며 “박근혜 전 대통령의 미완의 약속, 모든 노인에게 월 20만원의 기초연급을 지급하는 것, 그게 바로 노인기본소득”이라고 지적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