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위 추가 징계 가능성 시사에<br/>내홍 책임 여론조사 들어 비꼬아
국민의힘 당 윤리위원회는 이준석 전 대표에게 당원권 6개월 정지의 중징계를 내린 데 이어 1일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 가능성을 시사했다.
윤리위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국민의힘 의원총회가 이 전 대표의 추가 징계에 대한 윤리위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한 의견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의원들이 지난달 27일 의총에서 이 전 대표의 “개고기”, “양두구육”, “신군부” 발언 등을 문제 삼아 윤리위에 이 전 대표 추가 징계 촉구를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의원들의 요구에 윤리위가 즉각적으로 화답한 셈인데 이로 인해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가 논의될 가능성도 커진 상황이다. 실제 윤리위는 “당헌으로부터 부여 받은 권한에 따라 당에 극히 유해한 행위, 당헌당규 및 윤리규칙 위반으로 당 발전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그 행위의 결과로 민심을 이탈케 하는 행위 등에 징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윤리위는 “법원이 이준석 당원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일부 받아들여 초유의 정치적 상황을 촉발했다”고 법원을 탓하는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지를 모으는 과정에서 소속 의원들이 성숙하고 정제된 언어와 표현으로 동참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여권 내홍의 책임이 이 전 대표에게 있다는 주장은 물론이고 ‘정제된 언어와 표현’을 요구한 대상이 이 전 대표 측 의원들에 대한 사전 경고라는 해석까지 불거진 상태다. 더욱이 윤리위가 상세한 조항까지 명시한 점을 두고 “이 전 대표 추가 징계를 선언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28일 예정돼 있는 윤리위 전체회의 논의가 여권 내홍의 변곡점이 될 지, 분수령이 될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이 전 대표는 SNS반박과 법적대응으로 맞불을 놓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윤리위 입장문이 발표된 후 즉각 페이스북을 통해 “윤리위가 민심 이반을 초래하면 징계한다고 했다. 환영한다”면서 “이번 사태에 대해서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여론조사를 보면 제가 보통 3등 하던데 1, 2등 하는 분들을 징계하고 오라”고 밝혔다.
‘1, 2등 징계’ 발언은 지난달 글로벌리서치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내부 갈등에 누구 책임이 가장 크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윤 대통령(32.3%), 윤핵관(29.4%), 이 전 대표(24.4%) 순으로 집계된 결과를 이른 것이다. 즉, 자신을 징계하기 전에 윤 대통령과 권성동 원내대표, 장제원 의원 등 윤핵관부터 징계하라고 비꼰 셈이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