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 문화, 우리나라 3대 도시까지 반열에 올랐던 인구 250만의 대구. 그리고 산업과 일자리, 우리나라 기초지자체 중 수출 1위까지 차지했던 경북의 중심도시 구미.
이 두 지역은 명칭만 다를 뿐 하나의 생활권이고 구미는 대구의 위성도시이며, 구미 유동인구 60만의 상당수는 거의 대구에서 출·퇴근하고 있다.
필자가 운영하는 회사 직원 30%가 대구에 주소지를 두고 있고, 구미 대부분의 회사와 기관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일 것이다.
내후년 대구권광역철도가 개통되면 대구 안에서의 이동보다 오히려 더 가까워질 수도 있어 끈끈한 순망치한(脣亡齒寒)의 관계를 더욱 두텁게 할 것이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먹는 물 문제를 두고 대구 취수원을 낙동강 상류로 이전하자는 움직임이 시작됐고, 해평취수장에서 일평균 30만t을 추가 취수하는 것과 관련해 양 지역 정치권과 이해당사자들 간의 이견이 쉽사리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는 정치적인 분열에서 기인된 결과도 상당히 있다고 보여진다.
분명한 점은 대구와 구미는 분리할래야 분리할 수 없는 한몸이라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특히 안타까운 점은 최근 물문제를 두고 일부에서는 구미산단이 낙동강 오염의 주범이라는 식의 근거 없는 오보를 쏟아내고 있고, 과거 구미 불산 누출사고까지 운운하며 수질오염과 결부시키려 하고 있어 구미 기업인들의 사기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구미의 많은 기업에서는 현재도 폐수처리시설 등 친환경 설비투자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으며, 구미시에서도 공공폐수처리시설 신증설과 완충저류시설 완비, 중수도 활용 등 낙동강 수질 관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난 17일 대구시에서는 협정서 공식파기를 선언하며, 오폐수 무방류 시스템 도입, 입주 업종 확대 금지, 구미상품 불매운동 등 시대를 역행하는 규제를 강화하려 하고 있다. 이는 제 발등을 찍고, 구미와 대구가 경제 공동체라는 가장 큰 공통분모를 훼손하려는 것으로 피해는 고스란히 구미를 포함한 경북과 대구의 기업, 시민들에게 돌아간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대구에 물이 부족하면 대구시민들을 도와줘야 하고, 구미에 일할 사람이 부족하면 대구의 우수한 인재를 끌어와야 하며, KTX가 없어 기업 활동이 어려운 구미에 ‘KTX 구미역을 신설’할 수 있도록 대구시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어야 한다. 결국 서로서로 도와주어야 하며, 그렇게 해야만 수도권 공화국 속에서 실질적인 지방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에 불거진 물문제가 더 이상 확대되지 말고 슬기롭게 극복되어 각자 도생이 아닌 하나의 물줄기로 수도권에 버금가는 막강한 대구경북으로 힘차게 도약하길 대구경북인의 한사람으로서 간절히 빌고 강력히 호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