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위기에 처한 포항경제, ‘해법’ 찾아야 한다

등록일 2025-04-13 19:49 게재일 2025-04-14 7면
스크랩버튼
2026 지방선거 발언대
박승호 전 포항시장

경북 제1의 도시 포항이 흔들리고 있다. 이 나라 근대화의 중추적 역할을 했던 포스코를 위시한 철강산업의 본고장 포항이 국내외 경기침체와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중국의 덤핑전략 등의 악재로 뿌리째 휘청이고 있다.

포스코 포항공장 2개소가 잇달아 문을 닫았으며 현대제철 2공장마저 조업을 중단하는 등 철강업계가 그야말로 창립 후 최대위기를 겪고 있다고 한다.

이 같은 위기는 국가 경제적 차원에서도 심각한 현상이지만 아직까지 철강 단일업종에 편중돼 있는 포항의 경우 2차, 3차적 폐해마저 우려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포항시와 지역 상공계, 철강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하루빨리 특단의 해법을 찾지 않으면 자칫 IMF보다 더 큰 ‘경제 위기(economical crisis)’로 이어져 철강 도시 포항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

당장 눈앞에 닥친 최대 위기는 미국의 관세 폭탄이다. 트럼프 정부가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추가관세를 부과하면서 포스코를 위시한 포항 철강업계가 대책 마련에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한다. 이미 수년 전부터 중국의 덤핑 저가물량 공세 등으로 고전을 면치 못했던 철강업계로서는 느닷없는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그야말로 업계 전반이 직격탄을 맞은 셈이다.

실제로 포항 철강업계의 경우 국내 건설 경기 부진과 글로벌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생산과 수출 모두 급감하고 있다.

지난해 포항 철강산단의 생산실적은 14조7824억원으로 전년도인 2023년 16조3247억원보다 약 9.4% 감소했다. 또 수출도 2023년에는 36억5893만 달러의 실적을 올렸으나 지난해에는 33억2592만 달러로 9.1%가 감소했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부터 트럼프 정부의 대미관세 25%가 적용될 경우 그 결과는 어떠하겠는가.

특히 포항의 경우 아직까지 철강산업을 대체할 만큼 첨단 신산업이 자리를 잡지 못한 상황에서 주력산업인 철강산업이 뿌리째 흔들린다면 포항시의 내일과 시민의 안녕도 보장할 수 없다는 게 지역경제가 안고 있는 현주소다.

예컨대 포스코와 현대제철소의 몸집 줄이기가 구조조정으로 이어지면서 결과적으로 포항 인구감소라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미 50만 대도시 포항의 한계선이 무너지고 있는 것이 그 반증이다. 인구감소 현상이 반전되지 않는다면 50만 이상 대도시에 주어지는 행·재정적 정부 지원이 대폭 감소하게 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포항 경제의 어려움은 도심 내 상가와 거리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포항 시내 중심가인 오거리와 육거리 일대 중심상가에는 영업 중인 가게보다‘임대’를 붙인 공실 점포가 더 많을 만큼 을씨년스럽다.

포항시에서도 ‘포항사랑상품권’을 발행하는 등 나름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으나‘언 발에 오줌 누기 식’의 미봉책으로는 근본적인 서민경제를 살리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많다.

위기에 처한 포항 경제를 살릴 해법을 찾기 위한 그야말로 ‘솔로몬의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발 관세정책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철강산업 살리기에 포항시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와 함께 서민 가계를 살려 나갈 보다 근본적인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어려울 때일수록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함은 불문가지다. 위기에 처한 포항을 더이상 방관해서는 안 된다.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단체장 출마 희망자의 기고문을 받습니다. 후보자의 현안 진단과 정책 비전 등을 주제로 200자 원고지 7.5∼8.5장 이내로 보내주시면 지면에 싣도록 하겠습니다. 기고문은 사진과 함께 이메일(hjyun@kbmaeil.com)로 보내주세요.

발언대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