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쓰레기 줍지 마세요

등록일 2022-06-01 21:10 게재일 2022-06-02 16면
스크랩버튼
배문경수필가
배문경 수필가

아침 운동을 하다 몇 명의 여성을 만났다. 손에는 집게와 종량제 봉투가 들려있었다. 밤새 지저분해진 거리를 정리하는 사람들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의 크고 작은 공식적인 모임에서도 쓰레기청소를 하고 정화작업을 한 후 인증 샷을 남기곤 한다.

출근하면서 보니 앳된 여성 청소부가 형광조끼를 입고 쓰레기를 치우고 있었다. 직장 앞 정류장에는 할머니 두 분이 걸레와 빗자루를 들고 거미줄을 제거하고 유리를 닦았다. 잠시 앉았다가 다시 일어나 청소를 하며 얘기를 나누곤 했다.

누가 쓰레기를 거리에 함부로 버리는지. 그래서 애꿎은 노인네들 고생시키는지. 시민의식 실종이며 공중도덕 결여라고 비판할 일이다. 그런데 알고 보면 쓰레기를 줍고 청소하는 일은 노인들 일자리면 좋겠다. 쓰레기 줍기는 중노동이 아니라 가벼운 일일 수 있다. 나이 드신 분들이 운동 삼아 할 일이라서 일석이조다. 그렇게 해서 받은 임금은 생활에 쓰거나 손자 손녀들에게 용돈을 준다고 한다.

“전 아직도 하이패스를 설치하지 않았어요. 가능하면 아주 늦게 설치할 생각이에요.”

후배의 친구가 톨게이트 수납원이었는데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직장을 잃었다고 했다. 남편과 함께 이동하면서 남편 차에도 하이패스가 없다는 걸 알았다. 수납원이 많던 예전과 달리 혼자서 반가운 모습으로 결제해 주었다. 몇 년 전 수납원들이 일자리를 잃고 시위하던 모습이 기억난다. 그들은 어딘가에서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이다.

식사하러 들어간 식당에 주인 내외가 음식을 만들고 있었다. 로봇이 나타나 메뉴판과 물 잔을 가져와서 주문을 독촉했다. 어쩌면 이곳도 2~3명이 일자리를 잃었다는 생각이 들자 마음이 착잡해졌다. 곳곳에서 사람이 아닌 무인기계가 사람들보다 더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문득 내 일자리는 안전할까 하는 생각에 이른다.

햄버거 가게에도 아이스크림 판매점에도 키오스크가 메뉴를 선택하라고 떡하니 섰다. 순서를 누르다 잘못 눌러 처음부터 다시 한다. 모든 것이 이렇게 되면 나이 든 세대는 머지않아 주문하지 못 해 굶는 일이 다반사이겠다. 겨우 선택된 메뉴와 영수증을 챙겨 들고 전광판에 번호가 뜰 때까지 기다렸다. 대화는 전혀 필요하지 않았다.

제품을 조립, 포장하고 기계를 점검하는 전 과정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공장들이 늘어나고 있다. 모든 설비와 장치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전 공정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가 자리 잡았다. 사람들의 일자리가 점점 사라지는 현상은 시대적 조류이다. 어디로 갈지 몰라 출렁대는 변화라는 큰 배에 올라탄 것은 분명하다.

팬데믹 사태의 코로나를 거치며 변화를 더 많이 경험한다. 재택근무와 화상채팅으로 하는 업무 보고시스템은 이전으로 돌아가기 힘듦을 느끼게 한다. 실직자는 늘고 오토바이 맨들이 아슬아슬하게 거리를 질주한다. 택배차가 거리와 집 앞에서 끊임없이 물건을 나르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면서 또 다른 일자리가 창출되긴 하는 것일까.

일이 자동화되면 그로 인한 이익을 분배하는 문제가 생긴다. 큰 자본이 들어가는 자동화는 자본가들이 투자한다. 그러므로 이익은 자본가들이 챙긴다. 일하지 않는 사람에게 나눠줄 리 없다. 낙수효과 또한 없는 셈이다. 그리하면 못 가진 사람은 더욱 빈곤에 빠지게 된다.

커피를 살 때도 키오스크보다 아르바이트하는 청년에게 주문하자. 은행에 가서도 불편하더라도 번호표를 뽑아 직원과 대화를 하자. 고속도로가 조금 막혀도 하이패스 차선이 아니라 팔을 길게 뻗어 표를 뽑아 출구에서 사람에게 카드를 건네자. 이렇게 주장하면 억지일까?

기계화를 막을 수는 없다. 다만 속도를 조금 늦추며 새 일자리를 만들자는 이야기다. 노인들이 거리를 배회하면 그 부담은 누가 질까. 결국 젊은이에게 돌아갈 몫이다. 평생 할 수 있는 안전한 직장을 꿈꾸지 못하는 젊은이에게…. 덤으로.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