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스코, 신뢰회복이 우선이다

등록일 2022-02-14 20:26 게재일 2022-02-15 4면
스크랩버튼
           전준혁 경제팀장
전준혁 경제팀장

포스코가 배당금 관련 주주들의 불만으로 시끄럽다. 포스코는 최근 보통주 1주당 5천원의 연말 현금배당을 실시한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분기 배당 1만2천원까지 포함하면 2021년 총 배당금은 주당 1만7천원 수준인 셈이다. 총 배당금 규모만 1조2천856억원으로, 이는 2020년 총 배당금 6천203억원보다 2배 늘었고 포스코 자체적으로도 역대급 금액이다. 그런데 주주들은 왜 불만일까.

포스코는 지난 2020년부터 올해까지 연결배당성향 30%를 유지하겠다고 했다. 지주사 전환을 앞두고 시끄러웠던 당시에도 최정우 회장은 공개 주주서한을 통해 “2022년까지 연결배당성향 30%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재확인시켜줬다.

이런 가운데 2021년 포스코는 최대 실적을 견인하며 연결기준 순이익이 전년대비 302.5%나 증가한 7조1천960억원을 기록했고, 약속대로라면 7조원이 넘는 순이익의 30%(주당 2만8천500원 이상)를 배당해야 했다. 그러나 이 수치가 19% 수준에 그치자 불만이 터져 나왔다.

주주들은 금전적인 이익보다 포스코가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것에 기분이 상했다. 기업 상황이 각종 대내외적 여건에 따라 바뀔 수는 있는데, 충분히 설명할 기회가 많았음에도 전혀 소통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우연인지 몰라도 배당 결정이 지주사 전환을 결정짓는 임시 주주총회 이후에 일어났다는 것도 논란이다. 30%란 수치가 찬성표를 위한 미끼였다는 비난이 나오는 이유다.

이러한 태도 탓에 불거진 포스코의 본질적인 ‘신뢰’문제는 현재 포항지역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포스코 지주사 전환’과도 맞닿아 있다.

포스코는 “지역에 해를 끼치는 것은 없다”고 선을 긋고 있지만, 정작 주민들의 시각은 냉담하다. 심지어 “지방 분권에 역행하는 일”이라는 프레임과 함께 정치권이 가세하며 포항은 물론 전국적인 이슈로 번지는 모양새다.

포스코는 이제 신뢰회복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 무너진 신뢰 속에서는 아무리 약속을 해봤자 ‘공염불’일 뿐이다. 포스코의 어려움은 포항의 어려움이고, 포항의 발전은 포스코의 발전이다. 만약 포스코가 ‘양치기 소년’이 된다면, 지역민 역시 포스코의 손을 더는 잡아주지 않음을 명심해야 한다.

/jhjeon@kbmaeil.com

기자수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