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내 경우엔 “어떤 계절을 좋아하느냐”는 질문을 받을 때면 늘 “겨울”이라 답한다.
겨울을 좋아하는 이유는 너무나 많지만, 우선 눈 내리는 풍경을 마주하면 언제나 마음이 편안해진다. 봄과 여름, 겨울에 미뤄둔 고민이나 일들을 한꺼번에 실행하기도 하고, 고마운 이에게 감사의 메시지를 용기내어 보내기도 한다.
그렇게 한 해를 얼렁뚱땅 마무리 지으며 새 시작 앞에서 겨우 의연한 척 해본달까. 그게 일 년의 끝이라고 할 수 있는 계절인 겨울에 내가 해보곤 하는 일들이다.
눈을 보며 먹는 겨울 간식도 좋아한다. 겨울밤만 되면 속이 답답하다는 엄마는 부엌에서 보내는 시간이 잦다. 군고구마나 옥수수, 감자 같은 걸 한 솥 크게 삶아 쟁반 째로 내어오면 각자 방에서 시간을 보내던 가족은 금세 거실로 모여든다. 겨울 간식이 가족간의 따스한 정을 나누게 해주는 매개체가 되는 것이다.
고구마의 맛이 심심해질 때쯤엔 손으로 찢은 잘 익은 김장김치를 올려 먹고, 목이 막힐 쯤엔 차가운 동치미 한 사발을 들이켜 퍽퍽함을 씻어낸다. 이불 안에서 손이 노래 질 때까지 까먹는 귤의 맛도, 폭닥한 외투 속에 붕어빵을 안고 뒤뚱뒤뚱 집으로 향하는 것도 이 계절에서만 누릴 수 있는 묘미다. 이쯤 되니 내가 겨울을 좋아하지 않을 수가 있을까 싶다.
만성 비염을 앓고 있는 난 매일 코가 닳아 있지만, 그래도 겨울을 좋아하는 건 아무렴 좋아하는 이들이 모두 겨울에 태어났단 점이다.
2001년 겨울이다. 엄마는 셋째의 출산을 앞두고 있었다. 당시 만삭이었던 엄마는 출산 시기가 앞당겨 오자 나와 둘째를 데리고 잠시 외할머니 집에서 지내기로 했다.
어느 새벽 급격한 태동을 느낀 엄마는 급히 나주병원으로 옮겨갔고, 어린 나는 엄마의 빈자리를 확인하자마자 누가 말릴 사이도 없이 서럽게 울음을 쏟아냈다.
내 모습을 가만히 지켜보던 외할머니는 허벅지를 찰싹 때리더니 언니는 동생 앞에서 절대 울어선 안 된다며 쏘아봤다. 열손가락 모두 금과 옥반지를 끼고 있던 할머니의 손은 얼마나 맵고 매몰찼던지. 동생이고 뭐고 내 마음 하나 이해 못해주는 할머니가 미워 더 큰 소리로 울어대면 할머니는 애써 등을 진 채 외면했다.
외할머니는 동네에서 멋쟁이라 불릴 만큼 반짝이는 옷을 즐겨 입었고 그만큼이나 흥도 많으셨다. 누가 보건 말건 기분이 좋으실 땐 춤을 추곤 하셨는데, 검정색 라디오를 이리저리 똑딱이다 보면 댄스의 시작을 알리는 시끄러운 트로트가 쿵광거리며 흘러나왔다.
실크 소재의 검은 상하의를 갖춰 입고선 오른발과 왼발을 차례로 내밀며 나아가는 그 스텝은 어린 내가 보기엔 얼마나 난해하고 우스꽝스러웠는지. 지금 떠올려보면 다 유쾌했던 어린 날의 추억들이다.
외할머니는 호랑이 선생님 역할도 하셨다. 넌 이제 초등학생이니 구구단 정도는 눈을 감고서도 외워야 한다며 2단부터 9단까지 엄격히 가르치셨는데, 이일은 이 이이는 사, 이삼은 육… 그 특유의 리듬감에 맞춰 낮게 외는 소리는 그때 외할머니에게 눈물 콧물 빼며 배운 것이다.
추가로 전국 8도 지도를 펼쳐 경상도-전라도-충청도-강원도-경기도-평안도-황해도-함경도 순으로 한 번에 외는 수업도 들어야만 했다. 무사히 수업을 이수한 덕분인지 지금도 낯선 지명을 들을 때면 아아, 거기 경상북도에 있는 곳? 하며 직감적으로 알아맞히곤 한다. 이런 게 조기교육의 결과인가?
장난감이나 책 한 권 없는 지루한 일상에서 내가 좋아하는 시간은 창문을 내다보는 일이었다. 엄마는 열 밤을 자고 온다고 했고, 그럼 눈이 많이 내리는 날에 분명 동생을 품은 엄마가 등장할 거라 생각했으니까.
그때부터 창문을 보는 습관이 생겼달까. 사실 깊게 생각해보지 않아 몰랐지만 글을 쓰다 보니 틈만 나면 창문에 얼굴을 붙이고 이유가 위의 경험 때문이란 걸 방금 깨달았다.
눈이 잔인할 만큼 거세게 내리는 날엔 늘 크고 작은 이별이 있었다. 늘 예고 없는 헤어짐은 한 겨울 속이었고, 극단으로 스스로를 몰아 방치하는 것도 전부 극심한 추위 속이었다.
거듭 돌이켜 보면 이별과 슬픔으로 이루어진 계절인데도 어쩐지 나는 차갑고 매운 바람 부는 겨울이 와야 비로소 나의 오랜 집 안에 들어선 듯하다. 다시금 떠올려보자면 분명 울적하고 지루한 시간이지만 그것이 나를 지탱하고 있음을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