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광역권 뷰티산업 인프라 연계로 미래 신산업 이끈다

이곤영기자
등록일 2021-12-19 19:43 게재일 2021-12-20 13면
스크랩버튼
2020년 수출 증가율 전년比 50.6% 증가 <br/>사업체·수출액 전국 평균↑ 성장세 뚜렷<br/>천연소재 개발 등 中企 신시장 개척 위한 <br/>체계적·종합적 전주기 맞춤지원 추진도<br/>광역권 인프라 연계 뷰티 밸류체인 구축<br/>대구·경북의 뷰티산업 동반성장 도모도

대구시가 대구·경북 뷰티산업 인프라 및 지원기관 연계를 통한 광역권 화장품산업 인프라 연계 밸류체인 구축으로 뷰티 신산업을 선도한다.

뷰티산업은 코로나19 악재에도 불구하고 흑자전환에 성공한 2014년 이후 2020년 처음으로 화장품 무역흑자는 7조 원을 돌파하며 한국의 수출 주력품목으로 도약하고 있다. 뷰티산업은 화장품 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뷰티 디바이스의 발달과 IT, BT 등 첨단 산업과 결합하면서 2014년 18억7천357만 달러 수출에서 2020년 75억7천517만 달러 수출을 기록하는 등 연평균 26.2%의 고속 성장하고 있다.

 

□ 대구 뷰티산업 성장세 뚜렷

대구 뷰티산업은 규모 면에서는 전국대비 작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사업체 수 증가율은 2017년 172개 사에서 2020년 537개 사로 전국 평균(29.8%) 이상인 41.8%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액도 코로나19 상황에도 불구하고 2020년 수출 증가율이 전년대비 50.6% 증가했고 수출액도 2017년 1천560만 달러에서 2020년 2천740만 달러로 증가하는 등 평균 증가율(33.9%)이 전국 평균 증가율(15.8%)을 웃돌고 있다.

지역은 화장품 임상평가 장비 및 뷰티디바이스 등 융·복합 뷰티제품 개발 지원 인프라를 보유해 융·복합으로 산업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뷰티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여건이 마련되어 있다. (재)대구TP(한방뷰티융합센터) 내에 피부탄력도 측정기 등 17종 17대 구축,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기술개발 및 인증), 경북대 3D융합기술지원센터(시제품), (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신뢰성 및 설계) 등 우수한 지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인접한 경북 경산에 구축된 CGMP시설과 구축 중인 화장품 특화단지와의 연계를 추진한다면 광역권 뷰티산업 지원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다.

또 뷰티 제조업(전국 2.3%, 전국 6위)보다 상대적으로 전국 비중이 큰 뷰티 서비스(전국 5.8%) 및 연관산업(전국 6.0%)과의 연계를 통해 뷰티산업 동반 발전 가능성이 크며, 2019년 비수도권 최초로 외국인 환자 3만명 시대를 달성한 의료관광 부문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운영으로 뷰티산업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 전주기 기업 맞춤지원으로 뷰티산업 육성

대구시는 현재 화장품 천연소재 표준화 지원사업 등 5개 사업에 3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친환경 천연소재 개발부터 수출활성화, 마케팅 사업 등 지역 중소기업의 신시장 개척을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전주기 기업 맞춤지원을 추진하고 있으며, 경상권 내 유일한 피부임상평가 장비 인프라를 현재 (재)대구테크노파크에 구축 중에 있다.

화장품 천연소재 표준화 지원사업(6억7천500만 원)은 친환경 천연소재 개발 공동연구 및 표준화를 지원한다. 스타 뷰티 브랜드 육성사업(1억3천500만 원)은 지역 우수 브랜드 발굴 및 선도기업 육성을 위한 기업 수요연계형 마케팅 지원을, 뷰티제품 타깃국가 해외인증 지원사업(9천만 원)은 타깃 국가별 수출제품 해외인증·컨설팅 지원을, K-뷰티 수출 컨소시엄 활성화 지원사업(5억만 원)은 해외판로 개척을 위한 해외 마케팅·프로모션 지원(온라인 플랫폼 입점 및 해외현지 마케팅, 수출상담회 개최 등)을, 도시형소비재산업 글로벌 신시장 개척지원(28억1천100만 원)은 도시형 소비재산업(뷰티·식품분야) 기업맞춤 지원 및 피부임상 기반조성(피부임상장비 구축)을 지원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비접촉 소비 확대로 언택트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디지털 시장의 급성장으로 지속적으로 디지털 광고비가 증가하고 있다. 지역 기업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의 필요성 대두에 따라 뷰티산업의 디지털 마케팅과 인력양성을 비롯해 다양한 시 차원의 지원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사업에는 2021년 7개사가 알리바바 등 BtoB·C 온라인 플랫폼 입점·컨설팅, 타깃국가 대상 온라인 수출상담회 및 해외 SNS·인스타그램 마케팅, 2022년 홈쇼핑·라이브커머스 등 디지털 채널 활용 판로개척 등을 지원한다. 디지털 마케팅인력 양성은 지역주도형 일자리 3개사업 신청(마케팅 인력양성 45명, 청년 창업지원 20명), 2022년 연 4회 기업 재직자 마케팅 실무교육 추진 등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향후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클린뷰티(천연소재 및 친환경 용기·포장재 등) 및 코스메슈티컬(의학적으로 검증된 기능성 성분 등) 제품의 기술개발과 융·복합 뷰티디바이스 산업 육성을 위한 임상평가 및 인증 지원 등의 신규 사업을 기획 추진할 예정이다. 또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후각융합연구센터와 함께 향 관련 연구개발을 추진해 지역 향기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을 조성해 K-뷰티 트렌드를 선도할 지역의 뷰티기업 육성을 위해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대구시와 연계 기관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전주기 기업 맞춤지원을 통해지역 기업들도 성장하고 있다.

디지털 후원방문판매를 통해 급성장 중인 리만코리아(대표 김경중)는 2018년 설립 이후 디지털 대리점·판매원(인플루언서)를 통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급성장하고 있다. 스킨케어 브랜드 ‘인셀덤(INCELLDERM)’과 퍼스널케어 브랜드 ‘보타랩(botalab)’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가가고 있으며, 그 결과 2020년 대한민국 최고 브랜드 대상을 수상했다. 최근에는 이너뷰티 분야로 사업확장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의 상호협력을 통해 자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R&D연구소 ‘바이오랩’을 운영하는 등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매출액은 2018년 180억7천만 원에서 2020년 4천302억 원으로 급성장했다.

모델링 마스크팩 국내시장 1위 기업인 (주)에스엘씨(대표 김종우, 2007년 설립)는 기존의 OEM 전문회사에서 자체 브랜드 개발을 통한 국내 최초 모델링 마스크팩을 제작했다. ‘엘모르(Elmoro)’라는 브랜드를 론칭해 기업만의 독자적인 생산기술을 확보하면서 국내 모델링 마스크팩 국내생산 1위 기업으로 우뚝섰다. 2019년 대구시 스타기업에 선정된 이 기업은 2015년 47억 원에서 2020년 96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더모 코스메틱(Dermo Cosmetics)으로 성장 중인 (주)제이앤제이컴퍼니(대표 서정호)는 2008년 수입화장품 유통업으로 뷰티사업을 시작한 후 안티에이징 및 미백·보습 등 더모 코스메틱 브랜드 ‘W피부과학연구소’를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 현지화 마케팅 전략으로 해외 B2C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해외판로를 개척해 나가고 있다. 매출액은 2015년 25억4천만 원에서 2020년 36억5천만 원으로 늘었다.

화장품을 넘어 이너뷰티 시장까지 사업확장 중인 (주)에이팜(대표 허경)은 2007년 설립한 후 브랜드 ‘닥터뉴엘(Dr.NUELL)’과 ‘랑블랙(RANG Black)’을 통해 기능성 화장품을 스킨케어 시장에 선보여 2019년 한국명품브랜드에 선정됐으며, 2020년엔 대구시 프리스타기업에 선정됐다. 최근에는 ‘모모플린’, ‘쁘띠앤’ 등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를 통해 이너뷰티 시장까지 성공적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2015년 10억4천만 원에서 2020년 25억4천만 원을 기록했다.

□ 광역권 인프라 연계 뷰티산업 밸류체인 구축

대구시는 광역권 인프라 연계 뷰티산업 밸류체인 구축을 통한 대구·경북 뷰티산업 동반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구축된 인프라 연계 활용을 통한 지역 기업의 지원을 강화하고 화장품·뷰티 디바이스 등 소재개발부터 제품 생산, 시험·인증, 임상, 비즈니스 지원까지 One-Stop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대구TP의 임상시험 지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의 뷰티 디바이스 인증 및 컨설팅, 경북도화장품진흥원 글로벌코스메틱비즈니스센터의 소재·제형·전임상 시험, 경북IT융합기술원·첨단정보통신융합산업기술원의 디바이스 시제품 제작 및 공정기술 지원 등 광역권 뷰티산업 밸류체인 연계 전주기 지원사업을 대구와 경북이 공조해 내년도 국비사업(20억 원)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 대구·경북 지역 뷰티기업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주요 뷰티 이슈·트렌드를 주제로 한 공동 세미나 및 포럼 등을 개최해 정보 교류의 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시 이승대 혁신성장국장은 “올해 10월까지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5.8% 증가하는 등 전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코로나19로 장기간 지속된 경치침체를 서서히 벗어나고 있다”며 “대구시의 뷰티기업에 대한 수출지원 정책이 지역 뷰티기업들의 실제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