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구미시가 진행한 육상골재채취사업과 광평동 농로 개설 사업이 연이어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음에도 구미시 공무원들의 공직기강 해이가 도를 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불미스러운 사건사고가 있을 수록 더욱 열심히 일하는 모습을 보여야 함에도 당연히 해야 할 업무도 서로 미루는 일이 버젓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1일 구미시가 해평취수장 관련 입장문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다음날 언론사에서 취재가 진행될 것이 충분히 예상되는 상황임에도 담당부서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해 빈축을 샀다.
당시 장세용 구미시장은 담당부서에 언론 취재에 적극 대응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작 담당부서장인 상하수도사업소장은 입장문 발표 다음날 휴가를 갔고, 수도과장은 전화를 다시하겠다는 말만 남긴 채 연락을 하지 않았다. 이들의 태도는 말 그대로 ‘무책임’했다.
또 현재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인 광평동 농로 개설 사업 담당부서인 구미시 새마을과에서 별다른 이유도 없이 당시 ‘공사책임’담당자를 바꿔 논란을 낳고 있다. 해당 사업은 지난 4월 공사를 시작했다가 도비 특혜 의혹으로 6월 1일 공사가 중단됐고 현재 경찰 수사와 경북도 감사가 진행 중이다.
그럼에도 새마을과는 7월 21일 공사책임자를 교체했다. 인사이동으로 새로 온 직원에게 공사책임 업무를 맡긴 것이다.
이에 대해 새마을과는 “당시 업무를 맡은 직원이 너무 힘들어 해 업무를 바꿔 준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는 구미시 내부에서조차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업무조정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업무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직원이 힘들어도 끝까지 맡고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업무조정이 불법은 아니지만, 수사와 감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담당자를 교체한다는 것 자체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뿐만 아니다. 만성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는 구미시청 부서간 ‘핑퐁’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상생국민지원금과 관련한 회의에서 시청 간부들이 서로 업무를 맡지 않으려 고성까지 오간 사실이 확인됐다.
시민들은 코로나19로 인해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는데, 공무원들은 자신들의 안위만을 위해 몸을 사리는 꼴이다. 시청 간부 공무원 업무 책상에는 대부분 구미시 기구표가 붙어 있다. 그 기구표 가장 높은 위치에 ‘구미시민’을 올려 놓은 이유를 정녕 그대들은 모르는가.
구미/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