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이른바 정치 테마주가 올 상반기 중에도 격하게 요동을 쳤던 것으로 분석됐다. 일부 종목은 6개월 동안 무려 900% 가까이 상승했으니 놀라운 기록이라 하겠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을 통틀어 올해 주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종목은 부동산 매매·임대업체인 A사다. 이 업체 주가는 지난해 말 동전가격 수준인 677원에서 지난 6월말 현재 6천650원으로 882%가 폭등했다.
대선주자 이재명 경기지사의 장기 공공주택 정책의 수혜주로 주목받는 정치 테마주로 상반기 줄곧 상승세를 이어왔다고 한다.
정치 테마주는 정치인의 정책이나 인맥 등에 의해 대개는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으로 손꼽히며 후보 움직임에 따라 심한 등락을 거듭한다. 문제는 회사의 실적이나 기초체력과는 무관하게 움직여 비이성적으로 과열될 때가 많다는 것이다. 소문에 따라 움직일 때가 많아 대체적으로 개미군단이 최대 피해자가 된다.
2017년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돌연 대선 출마선언을 중단하면서 관련 테마주들이 줄줄이 하락하고 황교안, 안희정 관련 테마주들이 급등했던 사실을 생각해 보면 지금도 한국증시의 취약성이 정치테마주에 남아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의 본질 가치와 무관하게 가격이 급등하는 정치 테마주 현상은 국제적으로도 잘 없는 사례라 한다. 있다 해도 대부분의 정치 테마주는 개발도상국에서 일어나고 개도국은 정경유착이 높은 나라라는 점을 고려하면 부정적 현상으로 평가한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하반기에도 정치 테마주의 움직임이 요란할 것 같아 보인다. 하지만 테마주가 대선주자의 당락에 상관없이 끝장엔 폭락을 기록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