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물놀이 주의보

등록일 2021-07-14 19:35 게재일 2021-07-15 19면
스크랩버튼

여름 휴가철을 맞아 국립공원 주요 해변과 계곡에 물놀이 주의보가 내렸다.

특히 물놀이를 하다가 발생한 익사사고 가운데는 해안가에서 해루질 도중 사망하는 사고가 가장 많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국립공원공단이 최근 5년간 7~8월 여름철 휴가기간에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익사사고 5건을 분석한 결과 해안가 해루질로 인한 익사사고가 60%(3건)로 가장 많았고, 출입금지 계곡지역에서 물놀이를 하다가 발생한 익사사고가 40%(2건)로 뒤를 이었다.

해루질은 충청도 지역 방언으로, 물이 빠진 갯벌이나 해변에서 어패류를 채취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경상도에서는 ‘홰바리’라고 한다. 해안가 해루질은 밤이나 안개가 자주 끼는 새벽에 주로 하기 때문에 사고 위험이 높다. 해변에서 해루질할 때는 조수 웅덩이, 갯고랑 등 위험요소와 밀물·썰물 시간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계곡에서 물놀이 중 사망사고는 출입이 금지된 지역에서 음주 후 수영을 하다 익사하거나 차가운 계곡물에 심장마비를 일으켜 사망하는 경우다.

국립공원 내 계곡은 강이나 바다에 비해 수온이 낮고, 깊이를 정확히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망사고가 일어난다. 일부 폭포지역에서는 소용돌이 현상까지 발생하기 때문에 자칫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물놀이는 계곡 가장자리 수심이 얕은 곳에서 하는 게 좋다.

또 여름철 계곡에서 캠핑을 하는 경우에는 산악지형상 갑작스러운 폭우나 소나기가 내릴 수 있기 때문에 기상상태를 잘 살펴야 한다. 호우주의보 등 기상특보가 발효되면 물놀이를 즉시 중단하고, 대피해야 한다. 여름철 안전한 물놀이를 위해서는 술을 자제하고, 사전 준비운동과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지키는 생활습관이 꼭 필요하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