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추로지향의 도시

등록일 2021-07-06 18:56 게재일 2021-07-07 19면
스크랩버튼

추로지향(鄒魯之鄕)이란 공자와 맹자의 고향이라는 뜻으로 예절을 알고 학문이 왕성한 지역을 일컬을 때 쓰는 용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북 안동 도산과 영주 순흥을 이 표현에 적합한 도시로 손꼽는 이가 많다. 영주는 고려 때 성리학을 중국으로부터 처음 도입한 안향 선생의 고향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이 세워진 곳이다. 안향 선생의 성리학은 조선시대 통치사상으로 이어지며 퇴계 이황에 이르러 학문의 절정을 이룬다.

당시 서원은 선현을 모시는 곳이기도 하지만 지금의 사학과 같이 지역의 인재를 양성하는 곳이다. 안향의 학문적 영향이 살아 숨쉬는 영주가 지금도 선비의 고장이라 불리는 것은 이런 배경 때문이다.

안동은 조선 최고의 사상가이자 교육자, 정치가인 퇴계 이황의 고향이다. 동양의 주자라는 퇴계는 율곡 이이와는 쌍벽을 이루는 조선시대 대학자다.

조선조 정조가 퇴계의 치적을 말하며 그의 고향 안동을 추로지향이라 불렀다. 또 공자의 77대 종손인 공덕성이 도산서원을 방문해 추로지향이란 글을 남긴 것도 그의 학문적 위업을 알게 하는 내용이다.

안동시는 2006년 7월 4일 안동을 ‘한국정신문화의 수도’라 정하고 특허 등록을 했다. 안동이 가진 다양한 역사와 문화유산이 우리 민족 정신문화의 중심에 있음을 표방하고 그 정신을 온 국민과 함께 공유하겠다는 의지로 만든 도시 브랜드다.

안동은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 앤드류 왕자의 방문과 미국 부시 전 대통령의 부자 방문 등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외국 국빈 방문이 잦은 곳이다. 안동이 가진 문화적 특성이 외국인의 눈에는 가장 한국스럽게 보였을지 모른다. 안동이 정신문화의 수도를 표방한 지 15년이다. 경축할 만한 일이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