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마스크는 우리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생필품으로서 자리를 확실히 굳혔다. 이런 현상이 얼마나 오래갈지는 모르나 마스크 없이는 외출도 할 수 없다. 지하철이나 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은 물론 다중이 이용하는 식당이나 행사장에 갈려도 마스크는 필수다.
마스크를 선물로 주는 사례도 많이 생겼다. 선물로서 가치도 인정받고 있다. 팬데믹 이전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생활의 변화다. 마스크는 스페인 독감이 발생하면서 본격 등장했다고 한다. 1918년 등장한 스페인 독감은 2년동안 무려 최대 5천만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인류 최악의 재앙이다. 의료진의 마스크 착용도 이후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1930년대 와서는 현재와 유사한 부직포 마스크가 대중화됐다.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마스크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는 강력한 수단임을 자타가 인정한다. 국제학술지에는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걸릴 위험성이 5배나 높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특히 무증상 감염이 30%를 웃도는 지금의 상황에서는 마스크 착용은 필수다.
“확진자와 동승해 승용차로 1시간을 다녔어도 추가 감염이 없었다” “9천명의 신자가 있는 교회에서 모두 마스크를 썼더니 확진자가 3차례나 같은 예배에 참석했어도 추가 감염이 없었다”는 사례는 마스크 착용의 좋은 본보기다. 마스크의 위력이다.
통계청이 소비자 물가지수 조사품목에 마스크를 추가했다. 소비자 물가지수를 개편하면서 서민생활과 연관된 물가 중 마스크도 조사대상 항목에 포함한 것이다. 마스크가 드디어 우리 생활의 필수품으로 확실히 자리를 잡는 순간이다. 마스크 벗는 날만 학수고대한 우리에게는 별로 반갑지 않은 소식이지만.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