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386세대란 말이 처음 나온 후 한 세대의 특성을 규정짓는 사회적 용어로 X세대 N세대 Y세대 등 많은 용어들이 쏟아져 나왔다. 한 시대의 특징을 말 한마디로 규정하기가 쉽지 않으나 주로 젊은층의 사고를 시대 구분의 특징으로 삼았다는 것은 우리가 예의주시할 만한 부분이다.
세대(世代)란 같은 시대를 살면서 공통의 의식을 가지는 비슷한 연령층의 사람들이다. 한 세대를 약 30년으로 보는데 이는 생물학적 나이로 부모의 일을 계승할 때까지를 기준으로 봤을 때다. 세대교체란 부모가 자식에게 권한을 물려주듯 우리사회가 신세대와 구세대간에 대물림을 주고받는 과정이다.
국민의힘 당 대표에 36살의 MZ세대가 백전노장의 정치인을 물리쳐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는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에 대한 거대한 세대교체 요구의 물결이란 해석이 돌면서 정치권의 긴장감도 만만찮은 분위기다.
MZ세대란 1980년초에서 2000년초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중반에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2021년 현재 우리나라 인구의 34% 정도가 여기에 해당된다고 한다.
이 세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디지털 환경에 매우 익숙하며 스스로의 만족을 중시 여긴다. 또 가치관에 따라 돈과 시간을 아낌없이 투자한다.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뭉치고 흩어져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학연, 지연, 혈연중심의 관계망에 별로 구애받지 않는다.
MZ세대는 나의 행복이 침범된다고 느껴지면 직장도 빠르게 이직하는 성향이 있다. 집단보다 나의 행복이 우선이라는 신념의 생활을 한다. MZ세대의 돌풍, 과연 우리 정치나 사회에 어떤 변화를 던져줄지 궁금해진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