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란 서로 다른 계층이나 집단이 점점 더 차이를 나타내고 관계가 멀어지는 현상이다. 대표적인 것이 부와 빈곤의 양극화다. 가난한 사람은 더 가난해지고 부자가 더 부자되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말한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나눔을 실천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장려돼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양극화 해소는 쉽지 않은 문제다.
다소 생소하게 들리는 휴일 양극화란 공휴일인데도 누구는 쉬고 누구는 일하는 휴식의 불평등을 뜻하는 말이다. 법정 공휴일이면 공공기관이든 민간기업이든 모두가 쉰다. 그런데 임시 공휴일은 법정 공휴일과 달리 공공기관과 공무원 등에게만 적용되고 민간기업은 의무사항이 아니다. 노동조합이 있는 대기업은 대개 정부가 지정한 임시 공휴일에도 쉬는 분위기나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맞벌이 부부의 경우 학교와 어린이집이 쉬게 되면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오히려 임시 휴일이 짐이 될 때도 있다.
과거에도 법정 공휴일을 대체할 임시 공휴일 지정 문제가 논의됐으나 이런 문제점으로 시행을 보류한 적이 있다. 정부는 올 하반기부터 대체 공휴일을 확대해 모든 공휴일을 대체 휴일제 대상으로 하는 법안을 준비 중이다. 여야가 뜻을 같이하기에 빠르면 6월 중 법안 통과도 가능하다. 올 하반기 돌아오는 광복절(일요일), 개천절(일요일), 한글날(토요일), 크리스마스(토요일) 등 주말과 겹치는 휴일은 이 법이 통과되면 대체 공휴일을 별도 정하게 된다.
많은 직장인이 대체 공휴일 확대에 찬성하고 있으나 일부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는 여전히 그림의 떡일지도 모른다는 걱정도 있다. 휴일 양극화 문제에 대한 적극적 해법이 필요할 때가 됐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