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월

등록일 2021-03-10 20:09 게재일 2021-03-11 18면
스크랩버튼

벙어리가 어린 딸에게

종달새를 먹인다

어린 딸이 마루 끝에 앉아

종달새를 먹는다

조잘조잘 먹는다

까딱까딱 먹는다

벙어리의 어린 딸이 살구나무 위에 올라앉아

지저귀고 있다 조잘거리고 있다

벙어리가 다시 어린 딸에게 종달새를 먹인다

어린 딸이 마루 끝에 걸터앉아 다시 종달새를 먹는다

보리밭 위로 날아가는 

어린 딸은

밀짚모자 쓴 벙어리가 고개 한껏 쳐들어

바라보고 있다

시인은 특유의 상상력으로 시를 끌어가고 있다. 벙어리 엄마가 어린 딸에게 종달새를 먹여 진정한 소통의 순간을 맛본다는 것이다. 언어를 잃어버린 벙어리가 재잘재잘 울어대는 종달새를 매체로 현실적 한계 혹은 문명적 제한을 초월하려는 시인정신을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시인>

김만수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