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 파악하는 일이란 만만찮다. 예고된 만남인 경우에는 직장, 지위, 세평 등 여러 정보를 가지게 되어 상대에 대해 어렴풋이 알게 된다.
우연한 만남에서는 상황이 다르다. 상대에게 자신을 구구절절 소개하는 것, 상대방이 인내하며 듣고 있을 리 만무하고 예의도 아니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고 했던가? ‘oo물산 대표 홍길동’, ‘ oo부 국장 아무개’ 사회활동을 하는 사람 대부분은 자신의 직장, 직위, 이름이 새겨진 명함을 가지고 있다. 가벼운 인사말과 함께 ‘저는 이런 사람입니다’라는 명패 교환이 이루어진다. 눈길은 순간 상대의 이름 앞에 새겨진 수식어에 먼저 가게 된다. ‘기업대표군’,‘꽤 높은 나랏일 하는 사람이네’,‘쳇, 월급쟁이잖아’, ‘오잉, oo사!, 전문직 고소득자’ 짧은 시간 안에 인간상품 등급이 매겨진다.
허름한 차림과 어눌한 말투 탓에 가볍게 대접받을 것 같은 사람이었다. 이름 앞 수식어 때문에 순식간에 상대로부터 겸양의 말과 상석을 양보 받는 간사한(?) 리액션이 펼쳐진다. 비난하거나 비아냥거릴 일은 아니다. 직업으로 등급 매겨진 인간역사는 유구하니까. 누구나 이삼만원 정도의 비용으로 100여명에게는 족히 뿌릴 수 있는 명함이 사회생활 기초용품이 된 지 오래다.
명함이 어느 날 벼랑 끝에서 갈 길을 잃게 된다. 이직, 실직, 퇴직이 되면 이름은 있는데 이름 앞에 붙는 수식어가 날아가게 된다. 명함이 슬그머니 사라진다. 슬픈 눈동자의 소녀처럼 유폐된 자신을 바라보는 일상에 사람 만나기가 꺼려진다. 막상 알지 못하는 사람과 접촉하게 되면 구차해진다. ‘한 때 이런 사람이었습니다.’ 과거형 문장이 왠지 어색함을 넘어 비굴함마저 든다.
퇴직한 선배와 조우한 적이 있다. ‘oo기획 감사 왕선배’ 새로 취업했다며 명함을 건넨다. 새로운 일자리로 뒷방노인 신세를 탈출했다는 사실이 부러웠다. 그런데 명함 뒷면에 노안이 원망스러울 정도로 읽기 힘든 빽빽한 활자가 가득 차 있었다. 현역시절 본인의 화려한 경력이 이력서처럼 빼곡히 순차적으로 새겨져 있었다. 제법 거물로서 활동했던 이력이 맨 위에 올라 있었다. 지금은 이런 일하지만 한때 ‘저 이런 사람이었습니다.’라고 메마른 성대로 최대한 힘을 주어 웅변을 내뱉는 것 같았다. 그의 빛바랜 투혼에 씁쓸한 기분이 들었다. 잊혀져가는 자신을 소개하는 친절한 방법을 구사하는 재빠른 재사회화의 기법을 마다할 이유는 없다. 명함에 새겨진 이름 앞의 수식어로 사람을 오롯이 등급매기는 세태가 현실이기 때문이다.
‘oo엄마’의 실종된 명함은 어쩔건데? 전업주부들의 항의가 귓전에 아른거린다. 앞면에 ‘위대한 대한민국 전업주부 ooo’. 뒷면에는 ‘아들 둘 모두 현역병에 차출시킨 위대한 애국엄마, 찌질이 남편을 대기업 사장반열에 올린 내조의 여왕, 동네방네 정보수집과 밑바닥 민심을 샅샅이 꿰차고 있는 열혈 아줌마 등등’, 전업주부로서 화려하고 찬란한 직책과 이력을 새겨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나눠주면 어떻겠습니까?(급 존대어를 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