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학기가 시작될 것이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늦추어지긴 하겠지만 전염병은 지나갈 것이다. 사스와 메르스가 그랬다. 그러나 개학이 늦추어진 것은 초유의 사태이다. 개학은 늘 순탄치는 않았다. 꽃샘추위가 그 으름장으로 긴장하게 했다. 낯선 곳으로 등교하는 신입생들은 더더욱 긴장되고 조심스럽다. 재학생들도 새로운 반과 담임선생님을 만나게 된다. 새 학기가 안정이 되려면 3월말 4월초의 언덕을 넘어야한다. 서열다툼이나 자리매김이 있기 때문이다. 해마다 넘어가는 언덕이다. 남학생들은 힘겨루기로 심하면 주먹질이 오가기도 한다. 통계적으로 이 시기에 가장 많은 학교폭력과 학교부적응이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교육청에서는 학기 처음에 상담주간을 둘 것을 공문으로 지시하기도 한다.
10년도 넘은 일이다. 그날도 3월 말쯤이었다. 학생으로부터 나는 문자를 받았다. ‘K가 계속 맞고 있어요.’ 자세히 알아보니 K를 중간에 놓고 J와 L이 아침부터 꼼짝 못하게 하고 있었다. 일어서려고 하면 발로 차고 협박해서 화장실도 못가고 있었다. 나는 J와 L을 불렀다. 그리고 훈계를 하고 수시로 교실을 살폈다. 그러나 J와 L은 나를 조롱하듯 변함없이 K를 괴롭혔다. 급기야 K의 부모에게서 연락이 왔다. 이 문제를 경찰에 신고하고 상위기관에 알리겠다는 것이었다. 학생부장에게 알리고 의논했다. 그러나 뾰족한 수는 없었다. 결국 상담이나 지도, 어떤 수고도 무산되었고 폭력은 계속되었다. K는 점점 야위어갔고 정신병원 치료까지 해야 하는 상태로 치달았다. 그래도 부모가 어떤 이유에서든 참아주었고 상위기관까지는 가지 않았다. 나는 여름방학 전 K에게 책을 한 권 내밀었다. “꼭 읽어라”고 당부했다. 케네스 해긴 목사의 ‘믿는 자의 권세’라는 책이었다. 나는 그 책을 읽으면서 자존감의 회복이야말로 모든 상황을 극복하는 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었다. 책을 다 읽고 K가 생각났다.
여름방학 후 돌아온 K에게 물었다. “책 읽었느냐?”, “아니요. 아직” 약간의 거부감이 있었던 것이다. 나는 다시 “꼭 읽어야만 한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K는 야윈 얼굴로 고개만 끄덕였다. 그런데 몇 주 뒤 K의 모습이 눈에 띄게 달라졌다. 복도에서 만난 K가 환한 얼굴로 말했다. “선생님 그 책은 좀 다르던데요.” 라고…. 나는 더 이상 되어 진 일을 물어보지 않았다.
K의 부모님이 웃는 목소리로 전화를 했다. 폭력문제가 해결된 것에 대해 나에게 감사했다. K는 그 책을 읽고 자존감을 회복했다. K는 책을 통해 자신의 내면에 있던 또 다른 자아를 끌어내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험난한 세상에 맞서서 당당히 부딪쳐라’라는 전언을 들었던 것이다. 괴롭히던 J와 L을 향해 과감히 도전장을 내밀었다. 죽음까지도 각오한 용기 앞에 J와 L은 피해 달아났다. 동급생들 사이에서 K는 새로운 싸움 짱으로 불릴 정도가 되었다. 새로운 학기 꽃샘추위와 낯선 곳의 긴장감, 드센 친구들의 괴롭힘에도 다시 안정을 되찾을 수 있는 길은 불안정한 흔들림을 피하지 않는 일이다. 늦추어진 개학을 기다리며 집에서 쉬면서 좋은 책이라도 한 권 읽어볼 것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