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과 시내에서 점심식사를 했던 날입니다. 식사 후 식당주변 커피 집을 찾던 중이었습니다. 골목 어귀에 앉아 컵라면을 먹던 노숙인을 보게 되었습니다. 미세먼지가 뒤섞인 차가운 공기에 온기가 가신 컵라면으로 끼니를 때우는 것 같았습니다. 노숙인의 초라한 행색과 비린 체취에 눈살을 찌푸리며 지나가던 행인들을 피해 비둘기 한 마리가 그에게 조심스레 다가갔습니다. 노숙인은 물끄러미 비둘기를 바라보더니 라면 몇 가락을 던져주었습니다. “이거 먹어”라며 비둘기에게 채근하였습니다. 경계심으로 머뭇거리던 비둘기는 던져진 라면 몇 가락을 쪼아 먹고 슬그머니 그의 주변을 서성였습니다. 길바닥 식탁과 바람을 반찬삼아 노숙인과 비둘기는 거나한 오찬(?)을 즐겼습니다.
돌아오는 차안에서 둘의 식사장면이 머릿속을 맴돌았습니다.
지난해 정년퇴직을 앞두고 몇 년을 해오던 구호단체 기부금을 끊었던 일이 떠올랐습니다. 적은 액수였지만 퇴직 후 씀씀이를 줄인다는 계획의 일환이었습니다. 몇 권의 책을 내면서 인세를 기부하며 으쓱해 했던 일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 일들이 부끄러워졌습니다. 남을 도우는 일은 결코 풍족할 때 하거나 폼을 잡는 일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노숙인은 컵라면 한 개를 쉽게 구하지 못했을 겁니다. 자신의 주린 배가 다가온 비둘기에게 눈길을 돌리게 할 수도 없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먹이를 찾아온 비둘기를 외면치 않았습니다.
고궁이나 광장에서 한가로이 비둘기들에게 모이를 던져주는 사람들을 보게 됩니다. 기념사진을 찍기도 합니다. 그들이 던지는 모이는 자신들이 꼭 먹어야하는 양식도 아니고 없어도 되는 것들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쉽사리 던져줍니다. 그리고 그것을 받아먹는 비둘기들을 바라보며 좋아라 합니다. 제가 했던 어쭙잖은 기부행위가 광장에서 비둘기에게 모이를 던지는 행위나 다름없었던 것 같습니다.
매월 일정액 기부나 책 인세기부 같은 것들이 저 자신을 위한 폼 잡기용이 아니었던가 싶습니다. 남을 위해 기부하는 것은 내게 남아도는 것으로 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내게 필요한 것들은 도움을 받아야할 처지의 사람에겐 더욱 간절하게 필요한 것일지 모릅니다. 노숙인은 자신의 허기를 채우기에도 부족할지 모를 컵라면을 먹으며 주린 비둘기에게 쾌척(?)했습니다. 자신보다 더 못한 처지라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럼으로써 남을 도울 수 있음에 생의 의미도 느꼈을지 모르겠습니다.
알량한 소액의 기부금조차 끊어버린 저의 처사를 생각하니 얼굴이 화끈 달아오릅니다. 물질이든 마음이든 남을 도우는 일은 내가 쓰고 남아서 하는 것은 고궁의 비둘기에게 모이를 던져주는 행위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라 안이 이런저런 일들로 을씨년스럽지만 컵라면 몇 가락을 던져주던 노숙인의 어깨 뒤로 겨울햇살 한줄기가 내리쬐고 있었습니다. 다시 구호단체에 연락을 해야겠습니다. 그런데, ‘얼마를 해야 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