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등록일 2019-12-10 20:12 게재일 2019-12-11 18면
스크랩버튼
이수원계명대 교수·유아교육과
이수원계명대 교수·유아교육과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에 의하면 우리에게는 생리 욕구, 안전 욕구, 소속감과 애정 욕구, 존경 욕구, 자아실현 욕구가 있으며 이 욕구에는 위계가 있어서 하위 욕구가 만족되지 않으면 상위 욕구를 추구하고 어렵다고 한다. 식욕, 수면욕, 배설 등 생리 욕구가 가장 기초적인 욕구이며 이 욕구가 충족되면 위험이나 고통으로부터 안전하고자 하는 욕구, 누군가를 사랑하고 사랑받고 싶은 소속과 애정 욕구, 사회적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존경 욕구, 마지막으로 자신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자아실현 욕구를 추구하게 된다. 욕구 이론은 연령이나 성, 인종을 초월해서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은 육아에도 적용된다. 아이를 지도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생리 욕구와 안전 욕구가 충족되는 환경이 우선되어야 하고, 아이와 성인과의 관계에서 충분한 애정 관계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 상황에서 아이는 주변 사람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행동하게 된다. 아이들은 인정받고 싶으나 주변 사람들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행동이 무엇인지 알 수 없거나 서툴러서 못할 수도 있다. 주변 사람들이 기대하는 행동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대부분의 경우는, 행동의 한계가 명확하지 않거나 어른의 지도 방식이 일관되지 않을 때이다. 같은 행동도 어른의 기분이 좋고 나쁨에 따라 허락되거나 허락되지 않을 때 아이는 혼란을 느낀다. 이러한 이유로 아이에게 허락할 수 있는 행동의 경계를 명확히 알려주고 일관되게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일관되어야만 아이도 행동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고 예측이 가능할 때에 상황에 대한 통제감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아이를 인정하기 위해 우리 어른들이 하는 칭찬 중에 비효율적인 칭찬이 있다. 비효율적인 칭찬의 예로는 “네가 최고야”처럼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우열을 가리는 칭찬이 있고, “착하구나”와 같이 착함의 기준이 상대적이고 모호한 칭찬 등이 있다. 남들과 비교하는 대신, “어제는 나무만 그렸는데 오늘은 나무에 매달린 사과까지 그렸구나”처럼 지난 날보다 현재 아이가 얼마나 달라졌는지를 인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 지면에서 아이를 인정하는 방법 중 하나를 공유하고자 하는데 그것은 바로 긍정적인 자아상 만들기이다. 긍정적인 자아상 만들기는, “너는 남을 돕기를 좋아하는 사람이어서 색연필을 친구에게 빌려주는구나”처럼 “너는 어떠한 사람이니까 그렇게 행동하는구나”라며 아이에게 바라는 모습을 담아 칭찬하는 방법이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라는 김춘수의 ‘꽃’처럼 아이를 꽃처럼 귀하고 아름다운 존재로 불러줄 때 아이는 그렇게 성장할 것이다. 언어도 습관이어서 쉽게 바꿀 수가 없고 연습이 필요하다. 종이와 연필을 꺼내서 아이를 인정하는 말을 적어보자.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