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 구도심 중앙동 대수술 눈앞에

박동혁기자
등록일 2018-08-03 20:32 게재일 2018-08-03 1면
스크랩버튼
전국  51곳 도시재생뉴딜<br />국가 지원사업 최종 확정<br />포항 1천415억 예산 확보<br />옛 중앙초·북구청·육거리<br />문화예술·청년창업 허브화<br />내년 6월 착공 본격 ‘시동’

포항의 구도심인 중앙동 일원에 대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본격화 된다.

국토교통부가 2일 도시재생 뉴딜시범사업지였던 포항 중앙동에 대한 지원을 최종 확정하면서 1천415억여원의 사업비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이번 발표로 지진과 철강경기 부진 등으로 침체에 빠져있던 포항시민들에게 희소식을 안겨줬고 지역 경제에도 숨통을 트이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 선정한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지 68곳 중 51곳의 지자체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이 완료됨에 따라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날 국가지원을 최종 확정했다. 51곳은 지난 상반기 재생 활성화 계획을 수립해 실현 가능성 및 타당성 평가를 통과한 지역이다. 이들 지역에는 오는 2022년까지 국비 1조2천584억원, 지방비 1조8천595억원, 공기업 및 민간투자 1조2천981억원 등 4조4천160억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부처별로 국토부는 도시재생사업비로 5천476억원을 지원하고 문화체육관광부, 중소기업벤처부, 행정안전부 등 14개 관계부처에서도 도시재생과 관련된 협업사업을 통해 102개 사업, 7천108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들 지역은 그동안 주민 참여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도시재생센터를 구축하는 등 거버넌스 체계를 수립하고 재생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업 준비를 마쳤고, 이달부터는 부지 매입과 설계, 착공 등에 들어간다. 51곳의 재생계획은 쇠퇴한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중심시가지 및 근린재생사업이 27곳, 노후 주거지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주거지재생 및 우리동네 살리기 유형이 24곳이다.

중심시가지형 27곳에 포함된 포항 중앙동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폐교부지 등을 활용해 쇠퇴한 구도심을 되살리고 새로운 청년·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총 사업비 1천415억여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중앙동 일원 약 20만㎡를 옛 중앙초등학교 부지, 현 북구청 부지, 육거리 및 중앙상가 등 문화예술허브와 청년창업허브 2개 거점으로 나눠 추진된다.

주요 사업은 문화예술팩토리 등 마중물사업 7건 300억원, 청소년문화의 집 조성 등 부처협업사업 11건 462억400만원, 청춘공영임대상가 조성 등 지자체사업 8건 483억4천만원, 공공임대주택 조성 등 민간투자사업 3건 170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먼저 문화예술허브는 옛 중앙초등학교 부지에 집중적으로 추진된다.

포항시는 지난해 2월 중앙초가 우현동으로 이전하면서 같은해 6월 교육청으로부터 이곳 부지를 모두 매입했다. 이렇게 확보된 1만8천729㎡에는 △문화예술팩토리 △주차장 △북구청 신축건물 △버스환승장소 △시청어린이집 △공공임대주택 등이 들어선다.

지진으로 사실상 건물사용이 불가능하게 된 북구청은 오는 2020년 이전을 목표로 연면적 4천700㎡ 규모로 건립돼 북구지역 주민들에게 민원편의를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건립하는 공공임대주택 120가구와 인근 지역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한 300면 규모 주차장도 들어설 전망이다.

청년창업허브는 옛 북구청 부지, 육거리, 중앙상가 등이 포함됐다. 북구청(면적 6천942㎡)이 빠져나간 자리에는 △청년창업 플랫폼 △청소년문화의집 △환동해 메이커스페이스 △스마트복합문화광장 및 주차장등이 조성된다. 청년창업 플랫폼은 청년들의 기술창업(ICT, 핀테크 등) 특화지원과 청년창업 인큐베이팅 및 지원프로그램 운영 등을 담당하게 된다.

포항시 관계자는 “이번 결정으로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관련된 모든 행정절차가 완료되면서 사업이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며 “내년 6월 착공을 목표로 철거, 설계 등의 남은 과제를 철저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

포항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