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먹는물 문제 정부가 나서라

등록일 2018-07-04 20:59 게재일 2018-07-04 19면
스크랩버튼
▲ 이곤영 <BR>대구취재본부장
▲ 이곤영 대구취재본부장

지금 대구는 먹는 물을 놓고 10년째 구미시와 소리없는 전쟁을 하고 있다. 최근 대구에서는 구미지역 기업에서 흘려보낸 발암물질인 과불화화합물질이 수돗물에서 검출되며 대구시민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달 21일과 24일 매곡·문산취수장에서 8종의 과불화화합물을 검사한 결과, 환경호르몬 물질인 과불화헥산술폰산 수치가 낙동강 원수는 152.1~169.6ppt, 정수된 수돗물은 139.6~165.6ppt로 나타났고, 발암물질인 과불화옥탄산 경우 낙동강 원수는 12.1~19.9, 정수된 수돗물은 13.5~16.5ppt까지 검출됐다.

특히 발암물질로 분류된 과불화옥탄산은 고도정수처리를 거쳐도 10∼15% 밖에 제거되지 않고 끓이면 농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대구에서는 시민들이 생수를 사기 위해 마트로 달려갔고 곧 생수가 동이 나는 사태가 벌어졌다.

환경부는 과불화헥산술폰산은 발암물질이 아니며, 과불화옥탄산도 외국 권고기준보다 낮은 수치가 검출됐다고 해명하고 과불화 화합물 배출 의심 사업장을 전수조사해 해당 물질을 사용하지 않도록 처리했으며, 7월부터 실시되는 감시 항목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폐수 배출 허용 기준을 설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환경부는 여전히 오염원 배출기업이 어떤 기업인지를 밝히지 않고 있어 250만 대구시민들의 건강을 걱정하기 보다는 오염원배출 기업을 비호하고 있는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그동안 1-4다이옥산, 페놀 등 수십차례 낙동강 오염사고를 겪은 대구시민은 청와대에 청원을 올리고 범시민운동에 나서는 등 분노가 극에 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를 놓고 올해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권영진 대구시장이 구미시와 구미시민이 희망하는 전문기관에 대구취수원 이전과 관련된 용역을 맡기고 그 결과에 따르자고 제안했고, 지방선거에서 반대 입장을 밝힌 장세용 구미시장이 대구 취수원 이전에 전향적인 자세를 보이고,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대구와 구미 간 합의를 이끌어내는 조정자 역할을 자처해 대구 취수원 이전에 새로운 해결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지사는 대구취수원 이전 방안으로 영천댐과 성주댐의 물을 대구 식수원으로 공급하는 방안 검토를, 장 시장은 대구 취수원 이전에 반대하는 구미시민의 합의 도출 방안 마련을 시사했다. 하지만 이들의 해결 방안은 이미 대구시가 검토했으나 추진이 안 됐던 안으로 이를 뛰어넘는 전향적이고 획기적인 방안이 나와야 한다.

실제로 대구시는 임하댐 도수로를 통해 물을 받고 있는 영천댐 물 이용을 검토했으나 금호강 유지수와 금호강 유역의 오염 방지 시설 등 관련 설비 구축에 당시에도 9천억원이라는 막대한 비용이 드는 것으로 나타나 추진하지 못했다.

또 안동 등 북부지역과 영천, 포항 주민 등이 반대하는 등 새로운 갈등이 야기될 소지가 높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2014년에 수도정비기본계획을 통해 대구 취수원은 구미 해평정수장을 같이 쓰는 방법이 가장 경제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했으나 구미시민들의 반대로 10년째 한발짝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대구 취수원 이전문제를 놓고 갈등을 일으키는 양 당사자인 대구시와 구미시간의 합의를 먼저 종용했다. 정부가 자치단체 간 갈등을 조정할 생각은 하지 않고 한발뺀 모습을 보여온 것이다. 이제는 정부가 직접 나서야 할 차례다. 먹는물 문제는 국민 누구나 누려야 할 보편적인 복지이기 때문이다.

데스크칼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