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자로 나선 정혜승 뉴미디어비서관은 `국회의원 급여 최저시급 책정`에 대해 “삼권분립 원칙에 따라 청와대가 결정할 수 없다”면서 “청와대가 해결하지 못할 것을 알면서도 의견을 모아주신 것이 국민들의 뜻, 민심”이라고 설명했다. 정 비서관은 “청원에 담긴 뜻은 `최저임금 현실화를 지지해달라`, `국회가 앞장서달라`는 요구로 이해된다”면서 “우리나라`저임금 노동자` 비중은 OECD국가 중 최고 수준으로, 임금노동자 네 명 중 한 명이 100만원 중반대 월급으로 살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정 비서관은 “`삶다운 삶`을 위한 최소한의 소득은 사회 안전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면서 “최저임금 인상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정부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네이버 수사 촉구` 청원에 대해서는 “청원이 시작된 다음날 네이버가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며 “경찰이 수사 중인 사안에 대해 정부가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답변했다. `네이버 수사 촉구`청원은 `국내 대표 포털 네이버의 댓글에 비정상적인 댓글들이 매크로라는 자동 프로그램 등을 쓰는 것으로 의심되니 수사가 필요하다`는 요지였다. 정 비서관은 “네이버도 직접 해명하는 것보다 객관적 수사를 자처했다”며 “가장 많이 이용되는 포털에서`댓글 조작이 일어나지 않게 해달라`, `문제가 있다면 밝혀달라`는 국민의 목소리를 수사팀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