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면세점도 직격탄을 맞았다. 요우커 위주로 영업해온 서울시내 면세점 9개가 한순간에 매출이 90% 가까이 급감했다. 급기야 한때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여겨지던 면세점 문을 닫겠다는 곳까지 나왔다. 한화갤러리아는 지난달 31일 제주국제공항내 면세점 임대차계약을 종료하겠다고 한국공항공사측에 통보했다. 현재 연말까지 기한을 연장했지만 임대료 조정 등 부담을 크게 줄였다. 롯데면세점도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운영을 접어야 할지 고심중이다.
중국내 진출기업에 대한 중국정부의 겉다르고 속다른 모습은 뒤늦게 얘기할 거리도 못된다. 문제는 기업차원을 넘어 국가적 이슈로 부상한 금한령에 대해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우리 정부의 태도가 더 큰 문제다. 외교부는 “북핵 문제가 해소되면 될 일”이라고 하고,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의를 제기하겠다”는 약속이 전부다. 우리 정부도 한중FTA협정에 명시된 보호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나서야할 때다. 외교문제는 외교문제대로, 통상문제는 통상문제대로 대처해 하나하나 풀어나가는 지혜가 아쉽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