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을 강타한 `살충제 계란` 쇼크는 그대로 우리나라에 상륙했다. 경기도 남양주와 양주의 산란계 농가의 계란에서 처음으로 살충제 `피프로닐`과 `비펜트린`성분이 검출됐다. 정부는 농약 검출결과가 나올 때까지 전국 마트에서 달걀 유통을 중단시키고, 전국의 산란계 농가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위생검사는 농장당 달걀 100개씩을 무작위로 추출해 동물위생시험소에서 살충제 성분 유무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실시하고있다. 최초 농약 성분이 검출된 남양주 농가와 양주 두 농가에서 출하한 계란들은 유통과정을 추적해 파기된다. 두 농가는 총 13만7천개의 달걀을 중간도매상 6곳에 출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려스런 것은 대부분의 축산농가가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를 제거하기 위해 약품을 쓰고 있어서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된 살충제의 성분이 검출되는 산란계 농가가 더 있을 개연성이 높다는 데 있다. 이같은 `살충제 계란`사태를 막기위해서는 소독약을 뿌릴 때 닭을 계사에서 모두 내보내고 빈 계사에 소독약을 뿌려 소독하는 등 계사를 아주 위생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런 공간이 없는 농장에서 자율적으로 이처럼 소독을 하도록 기대하기는 어렵다.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한 이유다. 우리나라에서도 유럽 사태이후 지난 4월부터 닭이나 계란에 있어서 잔류농약에 대한 측정이나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있었는 데도 정부당국이 “별 문제없다”며 안일하게 대처한 탓도 크다.` 소읽고 외양간 고치는` 뒷북행정이 개탄스러울 뿐이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