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스스로 노력하며 끊임없이 진보하고 굳세게 항쟁했던 인물”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7-03-10 02:01 게재일 2017-03-10 13면
스크랩버튼
칭기즈칸 평전주야오팅 지음, 이진복 번역민음사 펴냄·인문
13세기 초 세계적인 대제국 몽골제국을 일궈낸 칭기즈칸(1162~1227·아명 테무친). 그는 세계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지배한 군주다. 그가 건설한 대제국은 로마제국보다 두 배 컸고 알렉산더 대왕의 제국보다는 4배나 큰 규모로, 인류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제국이기도 했다.

영웅이 늘 그러하듯 테무친 역시 어린 시절부터 고난을 겪었다. 아홉 살 때 그의 부친이 독살된 뒤 하루아침에 풀뿌리를 캐고 들쥐를 잡아먹으며 지내는 고초를 겪었다. 결혼 한 달여 만에 부인은 다른 부족에 납치됐다.

아버지를 죽인 원수, 아내를 빼앗은 원수는 같은 하늘 아래 살 수 없었다. 복수는 그가 성장하는 데 중요한 동력이 됐다. 아버지에 대한 복수를 하기 위해 타타르 부족을 적으로 삼았고 부인을 되찾기 위해 첫 번째 전쟁을 시작했다.

사람을 쓸 때도 주인을 배신하는 자는 절대 용서하지 않았다. 그러나 재주가 있다면 민족과 출신을 묻지 않았고 자신을 반대했던 사람이나 이전의 적도 과감하게 기용해 인재를 구했다.

서방정벌 역시 복수를 하겠다는 의지에서 시작됐다. 1219년 칭기즈칸은 무역을 위해 450명 규모의 상단을 조직해 호라즘에 파견한다. 그러나 상단이 호라즘 변방의 오트라르 성(지금의 카자흐스탄 지역)에 도착하자 성주인 아날추크(가이르칸)가 상인들을 죽이고 상단의 재물을 빼앗았다.

분노한 칭기즈칸은 사흘 밤낮을 단식하며 `저를 도우시어 저에게 복수할 힘을 달라`고 기도한 뒤 산에서 내려와 서방정벌에 나섰다.

중국 베이징대 교수였던 주야오팅은 `칭기즈칸 평전`(민음사)에서 칭기즈칸을 무엇보다 스스로 노력하며 끊임없이 진보하고 굳세게 항쟁했던 인물로 평가한다.

먼저 칭기즈칸은 기존 씨족 부락의 한계를 타파하고 십진 단위의 천호제를 실시했다. 천호제하에서 군대와 백성은 하나였고, 성인 남성은 모두 군역을 졌다. 오로지 전쟁에 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 민족을 조직한 것은 칭기즈칸이 처음이었다. 그는 일사불란한 지휘 체계를 확립한 아흔다섯 개의 천호군에 의지해 금나라와 서하를 차례로 패배시키고 서방을 정복했다.

칭기즈칸은 그 자신이 뛰어난 전사였을뿐더러 전략 전술에 정통하고 치국의 도를 아는 군사 전략가이자 정치가였다. 상대방 부족이나 나라 간의 갈등을 이용할 줄 알았고, 몽골 부족의 규모와 상황에 맞게 군사 조직과 정책, 기율을 채택했다. 적군의 포로를 활용해 전선에서 바로 인력을 획득하고 보충하는, 즉 `적의 힘에 의지해 적을 공격하는` 책략으로 몽골의 수적 열세를 극복했다.

책을 번역한 이진복 서울사이버대학 외래교수는 “저자는 중국인의 입장에서`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의 관점 아래 칭기즈칸을 중국인의 영웅으로 화려하게 부활시켰다”면서 “책을 읽을 때 칭기즈칸의 생에 전반에 관한 상세한 내용뿐 아니라 현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 정책인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이 투영돼 있음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윤희정기자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