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규 승
땅이 흔들리고
물이 끓고
공기가 찢어지는
것도 내 것인 날이었다
너의 날도 그의 날도
개와 쥐의 날도
모두 내 것인 날이었다
쿠키의 날이었고
커피의 날이었고
냉장고의 소음이 불규칙한 날이었다
롤러코스터의 날이었다
찻잔의 날이었고
테이블의 날이었고
견과류의 날이었다
나팔소리 흔들리는 날이었다
모든 것이 흔들리는 날이었다
나만 꼿꼿한 날이었다
아무것도 아닌 날이었다
고통스러운 기억들, 고통의 시간들이 덮쳐올 때 시인은 자기만 꼿꼿한 날이었다고 말하지만 실제는 꼿꼿한 것이 아니라 더 깊이 고통에 젖어든다는 역설이 이 시를 지배하고 있다. 자연, 우주는 천재지변으로 엄청난 고통이 찾아든다. 그 고통을 겪는 존재들의 고통을 자기화하면서 극복하려는 의지가 스며있는 작품이다.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