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역사교육의 정상화

서동훈(칼럼니스트)
등록일 2016-11-18 02:01 게재일 2016-11-18 19면
스크랩버튼
역사교과서 편찬을 국가가 주관해야 한다는 논의는 MB정부에서 시작됐다. 민간 출판사들이 여러 종의 교과서를 만드니 상당수가 좌편향되거나 왜곡됐다는 소리가 터져나왔다. 그러던 중`교학사 교과서 사건`이 발생했다. 좌파적 시각에서 벗어난 교과서라는 이유로 집중공격의 표적이 됐다. 이 책을 채택한 학교들을 향한 협박이 빗발쳤다. 그것은 매우 집요했고, 마침내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하는 학교가 없어졌다. 역사교과서는 좌파들의 독점물이 돼버렸다. “이게 북한 교과서인가, 남한 교과서인가”란 비판이 일어났다.

“역사교과서에는 국민의 혼과 자긍심이 담겨야 한다. 이념적으로 분단된 국가에서, 교과서의 다양성이란 명목의 검인정은 좌파에 역사를 넘겨주는 일이다. 역사교육의 정상화가 시급하다” 해서 박근혜정부는 국정화(國定化)를 결정했다. 그것은 매우 용기 있는 결정이었지만, 힘겨운 도전이었다. 좌파 중심의 재야 역사학계의 반발은 거의 사생결단이었다. 박근혜정부는 이로써 또 하나의 적을 만들었다. 무릇 `개혁`과 `정상화` 과정에는 늘 `적`이 만들어진다.

`최순실 사태`가 터지자`최순실 교과서`란 말이 좌파쪽에서 나왔다. 김상률 청와대 교육문화 수석의 인척을 두고 그런 억측을 한 것인데, 무슨 일이든지 최순실만 갖다 붙이면 다 `악`이 되는 분위기를 탔다. 그러나 김 전 교문수석은 “북핵은 약소국이 추구할 수 있는 비장의 무기일 수 있다”고 말함으로써 오히려 “좌파가 심어놓은 트로이 목마가 아닌가” 라는 의심까지 샀다. 교육부는 역사교과서 국정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 하지만, 박근혜정부가 최악의 궁지에 몰려 있는 정국에서 그 국정화는 실로 풍전등화의 운명이다. 이달 28일 경에 내용이 공개되면 좌파의 공세는 더 극렬하고 전투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역사교과서는 국민의 자긍심과 애국심을 담아내는 그릇이다. 깨어지고 금이 간 그릇은 소용이 없다. 남남 갈등을 부추기거나 조국을 비하하는 내용이 담긴다면 그것은`적화통일용 교과서`밖에 되지 않을 것이다.

/서동훈(칼럼니스트)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