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에는 국민의 혼과 자긍심이 담겨야 한다. 이념적으로 분단된 국가에서, 교과서의 다양성이란 명목의 검인정은 좌파에 역사를 넘겨주는 일이다. 역사교육의 정상화가 시급하다” 해서 박근혜정부는 국정화(國定化)를 결정했다. 그것은 매우 용기 있는 결정이었지만, 힘겨운 도전이었다. 좌파 중심의 재야 역사학계의 반발은 거의 사생결단이었다. 박근혜정부는 이로써 또 하나의 적을 만들었다. 무릇 `개혁`과 `정상화` 과정에는 늘 `적`이 만들어진다.
`최순실 사태`가 터지자`최순실 교과서`란 말이 좌파쪽에서 나왔다. 김상률 청와대 교육문화 수석의 인척을 두고 그런 억측을 한 것인데, 무슨 일이든지 최순실만 갖다 붙이면 다 `악`이 되는 분위기를 탔다. 그러나 김 전 교문수석은 “북핵은 약소국이 추구할 수 있는 비장의 무기일 수 있다”고 말함으로써 오히려 “좌파가 심어놓은 트로이 목마가 아닌가” 라는 의심까지 샀다. 교육부는 역사교과서 국정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 하지만, 박근혜정부가 최악의 궁지에 몰려 있는 정국에서 그 국정화는 실로 풍전등화의 운명이다. 이달 28일 경에 내용이 공개되면 좌파의 공세는 더 극렬하고 전투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역사교과서는 국민의 자긍심과 애국심을 담아내는 그릇이다. 깨어지고 금이 간 그릇은 소용이 없다. 남남 갈등을 부추기거나 조국을 비하하는 내용이 담긴다면 그것은`적화통일용 교과서`밖에 되지 않을 것이다.
/서동훈(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