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추나무와 사귀다

등록일 2016-09-08 02:01 게재일 2016-09-08 18면
스크랩버튼
김 명 인
어떤 벌레가 어머니의 회로를 갉아먹는지

깜박깜박 기억이 헛발 디딜 때가 잦다

어머니는 지금 망각이라는 골목에 접어든 것이니

번지수를 이어놓아도

엉뚱한 곳에서 살다 오신 듯한 생이 뒤죽박죽이다

밤낮이 예 있어도 분간할 수 없으니

문득 얕은 꿈에서 깨어난 내 잠

더는 깊어지지 않겠다

이리저리 뒤척거릴수록 의식만 또렷해져

나밖에 없는 방 안에서 무언가 `툭` 떨어지고

누군가 건넌방 문을 여닫는다, 환청인가?

그러고 보면 나도 어느새 후생과 사귈 나이

필자는 이 시에 나오는 시인의 노모를 뵌적이 있다. 오래 전 시인의 고향이기도 한 울진군 평해읍 직산의 시골 기도원에 기거하시던 노모를 시인과 함께 뵌 적이 있었다. 참 곱고 단아하게 늙으신 모습이었다. 그런데 연로하신 어머니의 기억의 회로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어느듯 시인도 후생과 사귈 나이라고 할 만큼 회갑을 훌쩍 넘긴 나이다. 어머니의 뒤죽박죽된 서사에 대응하는 시인의 마음이 깊고 그윽하지 않을 수 없다.

<시인>

김만수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