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고려시대 경주 사람들의 말 들어보세요”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8-17 02:01 게재일 2016-08-17 13면
스크랩버튼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BR>`고려시대의 경주` 연계강연
▲ 서석탑중수형지기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유병하)은 17일 오후 1시 30분 박물관 강당에서 특별전 `고려시대의 경주` 연계 강연을 개최한다. 이번 강연은 특별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언어와 불교미술 부문을 살펴본다.

먼저 이용(서울시립대) 교수는 고려시대 우리말의 모습에 대해 강연한다.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된 기림사 소장 자비도량참법에 기입된 구결자료를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춰 상세하게 설명해 고려시대 구결을 이야기 한다.

구결이란 우리말과 구조가 달랐던 한문을 읽기위해 기입한 고려시대 당시의 우리말이다.

우리말과 한문은 어순이 다르고, 한문에는 우리말과 같은 토씨(조사)가 없다. 그러한 외국어를 이해하고 우리식으로 읽기 위해 고려사람들은 한문에 토씨를 메모한 것이다. 이것은 훗날 한글의 모태가 되는데, 이용 교수는 실제 자료를 토대로 관람객 및 수강자들에게 상세하게 그 전모를 밝힐 예정이다.

이용 교수는 고려시대 구결 전문 연구자이며, 유럽의 슬로베니아 대학에서 우리말과 우리문화를 가르쳤던 경력의 소유자로서, 세계인의 눈높이에서 고려시대 우리말을 이야기할 예정이다.

다음으로 송은석(동국대) 교수는 고려시대의 불교미술 문화에 대해 강연한다. 불상, 불화, 불구와 금속공예에 대해 설명한다. 고려시대는 불교문화가 문화의 중심이었다.

이런 연유로 고려시대 문화를 이해하는 데 불교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데, 송은석 교수는 이와 같은 이해를 돕기 위해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곁들여 설명할 예정이다.

고려시대 불상의 지역적인 특성, 전기에서 후기로 접어들면서 변화되는 양상을 사진자료를 활용해 설명한다. 또 고려 불화의 정교한 채색방법과 불화에 그려진 고려인이 생각한 극락정토 즉 유토피아도 설명한다. 불화와 불상에 나타난 부처님의 모습 등도 설명한다.

또 불국사 성보박물관 소장 석가탑형지기와 소명기(모두 국보 126호)와 경순왕영정 초본을 지난 12일부터 교체전시해 새로 선보인다.

석가탑형지기와 소명기는 1036년 지진으로 무너진 석가탑과 불국사를 2년에 걸쳐 재건하고 그 경위를 1038년에 기록한 문서다.

당대 지역사회가 고관에서 노비에 이르기까지 한마음으로 협력해 지역사회의 사찰을 재건했음을 보여준다. 이번에 교체전시한 경순왕영정초본은 채색하기 전 단계의 스케치에 해당하는 초본(草本)으로서 국내에 처음으로 공개되는 것이다.

`고려시대의 경주` 전시는 9월 4일까지 계속되며, 특강은 무료로 사전신청없이 누구나 수강할 수 있다.

한편 국립경주박물관은 20일 오후 2시, 31일 오후 5시 30분에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열어 전시 담당 큐레이터가 직접 전시해설을 진행할 예정이다.

/윤희정기자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