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진과 그림의 경계를 허물고 피어난 예술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8-16 02:01 게재일 2016-08-16 12면
스크랩버튼
대구봉산문화회관<BR> 이명호 작가 `나무연작` 전시
▲ 이명호作 `ViewofWork:Tree 3`

대구 봉산문화회관이 기획 시리즈로 선보이고 있는 전시인 기억공작소의 올해 네 번째 초대작가는 `예술-행위 프로젝트`라 명명한 일련의 작업을 하고 있는 이명호 작가다.

예술-행위 프로젝트에는 여러 개의 연작들이 있는데, 각기 나름의 방식으로 예술이란 물음을 환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나무 뒤에 캔버스를 설치함으로써 나무의 모습을 오롯하게 드러내는 `나무 연작(Tree Series)`과 `나무… 연작`은 그러한 드러냄, 즉`재현`에 빗대고 있고, 캔버스를 설치한다는 방식은 동일하나 사막 저 멀리서 넘실거리는 바다 혹은 오아시스와도 같은 신기루를 만들어내는`신기루 연작`은 그러한 만들어냄, 즉 `재연`에 빗대고 있다.

`예술-행위`라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작가는 결과물로서의 작업을 지양하고, 축적물로서의 작업을 지향한다.

과정과 결과는 별개가 아니라 과정의 축적이 곧 결과라는 점에 방점을 찍으며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행위가 축적되는 과정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번 전시에서 이 작가는 사진이라는 결과물로 보여지지만 설치, 조각, 회화, 영상 등 미술의 모든 장르가 합쳐진 작업을 선보인다. 단순한 듯 빈약한 듯 이미지 하나지만 그 안에는 모든 장르의 예술이 융합된 형태로 담겨있다. 미술사에 얽힌 이야기를 사진 한 장에 담고 있는 것이다.

`나무와 신기루, 행위`는 작고 소박하며 절제된, 18×12센티미터 크기의 사진 12장이 전시실 좌측 벽면에 가로로 연속해 붙어있고, 이어진 우측 벽면에 10인치 모니터 영상 하나, 그 우측 옆으로 다시 가로로 이어지는 15×10센티미터 크기의 사진 33장과 또 다른 10인치 모니터 영상 하나가 이뤄진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전시의 또 다른 가능성, 즉 완성작으로서 `사진`이 아니라 결과를 포함하는 과정으로서 `행위`에 주목할 수 있는 전시를 생각한다.

이명호 전 `공작의 기억:나무와 신기루`는 오는 10월 16일까지 봉산문화회관 2층 4전시실에서 열린다. 문의 (053)661-3526.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