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법은 단 한줄… 평화로운 섬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8-12 02:01 게재일 2016-08-12 13면
스크랩버튼
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한창훈 지음한겨레출판 펴냄·소설집

소설가 한창훈(52)의 소설 다섯 편을 모은 연작소설 `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한겨레출판)는 176페이지밖에 안 되는 작은 책이다. 하지만, 이 책은 수십 년이 걸려서야 완성된 단단하고 커다란 의미가 있는 책이다. 이야기는 이렇다. 작가는 20대 후반이던 어느 날 우연히 한 신문 칼럼을 읽게 된다. `녹색평론` 김종철 선생의 `단 하나의 법조문만 있는 나라`라는 글이다. 얼마나 가슴에 와 닿았던지 작가는 그 종잇조각을 가위로 오려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읽고 또 읽는다. `어느 누구도 특권을 누리지 않는다`는 남대서양 화산섬인 트리스탄 다 쿠냐 섬의 이야기가 너무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세월이 흘러 40대 중반이 된 작가는, 어느 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시민사회 구성원의 덕목에 대한 우화풍 소설을 써달라는 청탁을 받는다. 처음엔 거절하나 문득 저 가슴 깊은 곳에 잠자고 있던 섬 이야기가 떠오른다. 김종철 선생의 칼럼은 그렇게 연작소설의 첫 편인 `그 나라로 간 사람들`로 재탄생한다. 그리고 이어서 다른 네 편의 소설이 5년 사이에 차례로 발표된다. 소중한 씨앗 하나가 연작소설을 낳게 만든 것이다.

`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는 한 평화로운 섬을 배경으로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렸다. 이 섬의 법은 단 한 줄이다. 누구도 다른 어느 누구보다 높지 않다는 것. 빈부귀천이 없어서 그곳 사람들은 행복이라는 말조차 모른다. 순리대로 아무 걱정 없이 산다.

화산 폭발 때문에 섬을 떠나 본토인 육지로 이주하게 된 섬 주민들에게 어느 날 기자 한 명이 찾아온다. 휴일에는 쇼핑도 하고 놀러 다니면서 즐기라는 기자의 말에 섬 주민 중 한 명은 지금도 충분히 즐겁고 만족스럽다고 말한다.

▲ 소설가 한창훈이 `작가와의 시간`을 갖고 있다.
▲ 소설가 한창훈이 `작가와의 시간`을 갖고 있다.

“우리는 열심히 일을 했습니다. 오늘은 쉬는 날이죠. 그래서 이렇게 쉬고 있습니다. 물고기나 새도 활동을 하고 나면 쉬죠. 이보다 어떻게 더 잘 쉴 수가 있지요?”

작가는 다섯 편의 연작소설을 통해 `물질과 소유 중심주의`, `소통과 공감의 부재`, `성공 지상주의`, `개성을 무시하는 획일주의`, `독재의 폐해에 시달리는 사회`를 풍자한다. `쿠니의 이야기 들어주는 집`을 통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하는지와 공감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되짚고, `그 아이`를 통해 성공과 일등을 향해 질주하는 우리 자신을 돌아보게 하고, `다시 그곳으로`를 통해 지도자의 독선적인 판단이 모두를 얼마나 위험에 빠지게 하는지도 보여준다. 그리고, “준비를 해야 행복해진다고” 믿는 우리에게 “진짜 사랑하는 게 뭔지, 진짜 행복한 게 뭔지”를 묻는다.

전라남도 여수시 거문도 출신인 한창훈은 1992년 대전일보 신춘문예 단편 소설 `닻`으로 등단해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 등 바다를 배경으로 한 변방의 삶을 소설로 써왔다. 대산창작기금, 한겨레문학상, 제비꽃서민소설상, 허균문학작가상, 요산문학상을 받은 바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