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삼역의 2단계 사업반영은 주민숙원사업이었으나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계획에서 제외되자 칠곡군 관계자들이 수차례 국토교통부를 방문해 건의한 결과 받아들여진 것으로 전해졌다.
북삼역과 달리, 1단계 사업에 반영됐던 왜관공단역의 경우 기본계획수립 단계에서 예상 사업비가 크게 증액되면서 후순위로 밀려난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사업비가 당초 1천197억원에서 600억원정도 증액된 1천800억원으로 늘어나면서 조정 가능액 범위 내(1천436억원)를 벗어난 것이 원인이다. 국비지원사업의 경우 당초 사업비보다 20% 이상 증가하면 예비타당성조사를 다시 받아야 해 현재로선 왜단공단역은 사업 자체가 무산될 우려도 없지 않다.
칠곡군 관계자는“왜관공단역의 경우 북삼역과 함께 2개의 신설역이 반영된 만큼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칠곡/윤광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