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 늑대의 시간김경욱문학과 지성사 펴냄·장편소설
1982년 4월 일어난`우순경 사건`을 모티프로 삼은 이 소설은 참사가 일어난 하룻밤 사이 영문도 모른 채 죽어간 피해자 한 명 한 명의 삶에 집중하고 있다. 마치 장기 미제 사건에 덤벼든 프로파일러처럼, 김경욱은 사실성의 씨줄에 개연성의 날줄을 엮어가며 비극의 진실을 끈질기게 추적해나가지만 결국 작가의 시선이 멈추는 곳은 끝내 말하지 못한 채 스러져간 사람들 개개인의 소중한 삶이다. 또한 김경욱은 이 비극적 사건 이면에 존재했던 역사적·사회적 맥락을 작가 특유의 위트 넘치는 문장으로 들춰내 보인다. 이 소설은 끝내 말하지 못한 쉰여섯 명의 이야기를 찬찬히 풀어가며 이 사건의, 이 세계의`진짜 진실`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 사건을 탐색하는 김경욱의 시선은 지극히 피해자 중심적이다. 충분히 잔혹하고 자극적으로 쓸 수 있는 이야기이지만, 작가는 오로지 당시의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왔고, 무엇을 생각했고, 왜 그런 사람이 되었는지에 집중한다. 타인의 아픔에 민감한 공감 능력을 가졌던 박만길, 어린 나이에 백부에게 맡겨져 평생 사랑만을 바라온 손미자, 모든 것이 무협의 세계로 보이는 철없고 꿈 많던 소년 손영기 등 어느 날 갑자기 미완으로 남게 된 피해자들의 이야기가 다시 시작된다.
작가는 피해자 56명이 단지 숫자로만 환원될 수 없음을, 이 사건은 한 명 한 명의 이 꿈꿨던 우주가 사라진 비극이었음을 절실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묻는다. 이날 미친 호랑이처럼 사람들을 향해 총구를 겨눴던 황 순경만이 유일한 도살자이자 가해자였을까. 살인자가 마을을 돌아다닌다는 사실을 알고도 마을방송은커녕 변소로 숨어버린 면장, 온천 접대를 받다가 뒤늦게 사태를 파악한 뒤 마을 앞에 참호를 파 들어앉은 궁지지서장, 결재 라인만 따지며 나서길 주저했던 군청 직원들 등 오늘의 우리의 상황과도 오버랩되는 한국 사회 곳곳의 병폐가 이 소설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이날 가장 잔인했던 것은 구조를 요청한 이들을 외면한 시스템―타성에 젖은 관료제, 권위주의 문화, 억압적 이데올로기, 무사안일주의―은 아니었는가에 대해 작가는 질문을 던진다.
`개와 늑대의 시간`의 특징 중 하나는 작은 시골 마을에서 일어난 살인사건의 기원을 세계사적 인과망 속에서 추적해간다는 점이다. 사건의 개요, 살인자의 이동 경로, 피해자들의 피격 장소나 이력 등을 바탕으로 씌어졌지만, 이 소설은 르포문학이나 추리소설과는 거리가 있다. 작가는 이 사건들이 얽혀 있는 다층적 인과에 주목해 비극의 기원을 폭넓은 역사적 지식과 풍부한 상상력으로 추적해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미 2007년 김경욱은 `천년의 왕국`에서 역사적 기록을 소설적 상상력으로 변주해 380여 년 전 조선에 표류해`박연`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간 네덜란드인의 이야기를 장편소설로 써낸 바 있다.`하멜표류기`의 단 한 줄에 착안해 긴 소설을 창작했듯, 이번에도 작가는 이 사건의 주요 살상 무기인 카빈총에서부터 각 인물들의 삶에 얽힌 역사적 맥락을 짚어낸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