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개를 베다윤성희문학동네 펴냄. 소설집
`레고로 만든 집`의 윤성희(44) 작가의 다섯 번째 소설집 `베개를 베다`(문학동네)는 우리 삶의 생생한 질감을 되살리는 단편소설 10편이 묶여 있다.
199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레고로 만든 집`이 당선돼 작품 활동을 시작한 뒤 `하다 만 말`,`유턴지점에 보물지도를 묻다`,`부메랑` 등의 작품으로 현대문학상·이수문학상·황순원 문학상을 수상한 그녀는 일상에서부터 비롯된 소소한 이야기들을 따뜻하고 유머러스하게 그려내며 무뎌진 삶의 의미를 되찾게 해준다.
어느 봄에서 시작해 다시 어느 봄으로 끝나는 이 소설집을 읽으며 우리는 “(유행하는 말로 해보자면) 윤성희 소설을 한 편도 안 읽은 사람은 있을지 몰라도 단 한 편만 읽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라는 말이 전혀 유행 따라 그저 해본 말이 아님을, 또한 “낮술을 마시고 길을 걸을 때처럼 무엇이나 환하고 선명하게 보이게 한다”(문학평론가 백지은)는 말이 그저 비유에 그칠 뿐이 아님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소설집의 전반부는 `가볍게 하는 말 ``못생겼다고 말해줘``날씨 이야기` 등과 같이 어린 손자와 단둘이 사는 고모, 딸 하나를 잃은 어머니, 어쩐지 정신이 조금 없어 보이는 언니 등 연장자인 여성을 관찰하는 여성 화자의 목소리로 이뤄져 있다. 그러나 이 화자의 시선에는 죄책감이나 미안함, 연민 같은 확실하고 분명한 감정이 드러나는 대신, 과거를 조밀하게 기억하고 현재의 생활을 촘촘하게 이어나가는 삶의 무늬가 새겨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후반부에는 `휴가` `베개를 베다 ``이틀` 등과 같이 어딘지 모르게 조금 모자라다 할 법한 남자들의 사연이 이어진다. 그러니까 다 큰 성인임에도 어린 시절 어머니가 차갑게 내뱉은 말에 매달려 자꾸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는 남자, 느닷없이 엑스트라 배우가 되기로 결심하고 직장을 그만두고 아내와도 헤어진 남자, 또한 은퇴를 할 나이가 됐음에도 여전히 결근하는 일을 두려워하는 것처럼 보이는 남자 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들을 통해 드러나는 것은 우리 모두 삶의 두려움을 직면하고 살아간다는 사실이다.
윤성희의 소설은 작은 이야기들이 저마다의 무늬로 굽이치며 흐르고 있기에 무척 촘촘하다고 느껴지지만 사실 이 빽빽함 안에는 굳이 언급하기를 생략해 생겨난 아주 환한 여백들이 있다. 이를테면, 어린 손자와 함께 사는 고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가볍게 하는 말`. 아마도 고모의 아들인 `태우 오빠`는 죽은 듯한데, 윤성희는 이에 대해 어떤 설명도 꺼내지 않는다. `나`가 기억하는 아홉 살 적의 태우 오빠―이른 아침 학교에 가기 위해 일어난 그가 잠에서 깨어난 `나`에게 더 자라고 속삭이며 이불을 덮어주던 기억―의 부지런함과 다정함에 대해서는 세밀하게 말해주면서 말이다. 이처럼 누군가의 부재가 왜 발생한 것인지 함구하는가 하면, `베개를 베다`의 `나`가 갑자기 엑스트라 연기자가 되기로 마음먹은 것처럼, 인생의 방향을 바꾸는 누군가의 결심이 어째서 비롯된 것인지 또한 세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윤성희의 소설을 읽다 보면 우리 일상과 다를 바 없는 소소한 이야기들에 빠져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없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토록 그의 작품들은 수수함 속에서 삶의 에너지를 북돋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