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BR>19일 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
생의 고통을 딛고 수많은 걸작을 남긴 작곡가 베토벤. 대구시립교향악단이 상임지휘자 줄리안 코바체프의 지휘로 베토벤의 뜨거운 예술혼이 깃든 협주곡과 교향곡을 연주하는 제422회 정기연주회를 갖는다.
오는 19일 오후 7시 30분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에서 펼쳐지는 이날 공연의 전반부는 현존하는 바이올린 협주곡 중 최고 걸작으로 손꼽히는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를 바이올리니스트 이순익 한양대 교수의 협연으로 들려준다.
후반부에는 공연의 하이라이트라 할 수 있는 베토벤 `교향곡 제3번 에로이카`가 웅장하게 울려 퍼진다.
베토벤의 `교향곡 제2번`이 나온 지 불과 2년 만인 1804년 발표된 그의 `교향곡 제3번`은 베토벤 관현악곡에 있어 창작 2기의 문을 연 뜻깊은 작품이다. 특히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영향에서 탈피한 베토벤의 첫 작품이며, 전작과는 다른 충실함과 명료한 개성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이 곡은 장대하면서도 강력하고 건축적이다.
또 음악적으로나 내용적으로 베토벤은 작은 틈도 허용하지 않았다.
특히 베토벤 `교향곡 제3번`에는 이탈리어로 `에로이카`, 즉 `영웅`이라는 부제가 붙어있어 `영웅 교향곡`으로도 유명하다.
대담하고 힘찬 연주가 물결처럼 밀려가는 분위기의 1악장에 이어 장송 행진곡의 2악장이 영웅의 업적과 죽음을 그리며 슬픔 속에 마무리 된다. 매우 아름다운 호른 선율을 자랑하는 3악장에서는 미뉴에트 악장을 쓰던 교향곡의 기존 공식에서 벗어나 스케르초를 넣음으로써 베토벤의 독자성을 드러냈다. 마지막 피날레 악장에서는 대위법적 기교들이 나타나며 절정에 이른 후 장중하게 전곡을 마친다.
/윤희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