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삶과 연결된 사계절의 신비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1-08 02:01 게재일 2016-01-08 13면
스크랩버튼
 `영혼의 정원` 스태니슬라우스 케네디 수녀 열림원 펴냄, 388쪽
지난 5일 열림원에서 낸 `영혼의 정원`은 아일랜드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로 존경받는 스태니슬라우스 케네디 수녀가 가려 뽑은 짧은 명언에 그가 자신의 생각이나 소감을 주석처럼 달아놓은 책이다.

1월부터 12월까지 매일 날짜별로 하루 한편의 어록을 소개해 마치 일기 같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자연의 4계절과 정원의 신비를 우리의 삶과 연결시킨 명상록이랄 수 있다. 책은 자연과 함께하는 생활이 현대인의 지친 몸과 마음에 처방이 될 수 있음을 일깨워준다. 아일랜드의 전원 마을에서 자연의 고요함과 에너지, 아름다움과 너그러움을 느끼며 자란 스탠 수녀의 일기에는 다채로운 자연의 모습이 담겨 있다.

1월의 정원에는 고요한 영혼이, 3월의 정원에는 새로운 생명력이, 8월의 정원에는 풍요로운 충만함이, 10월의 정원에는 열매를 가꾼 우주의 조화로움이 깃들어 있다. 자연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세심하고 따뜻한 눈길로 살펴본다면 우리는 삶의 시련을 헤쳐나갈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케네디 수녀에게 영감을 준 글은 성서, 시편, 성인의 어록부터 동서고금의 작가, 사상가, 정치가의 글까지 다양하다. 베트남 승려인 틱낫한의 글을 여러 차례 소개하는 등 다른 종교를 가진 종교인의 글을 소개하는 데도 주저함이 없다.

어록의 주인공은 각기 다르지만 1월의 글에선 고요한 영혼이, 3월은 새로운 생명력이, 8월은 풍요로운 충만함이, 10월은 열매를 가꾼 우주의 조화로움이 깃들어 있다.

케네디 수녀가 어록 밑에 단 소감문은 그 길이는 짧지만 긴 여운을 남긴다.

`꽃은 열매를 위해 만개하지만, 열매가 열리면 꽃은 시든다`(10월 20일)는 철학자 카비르의 글을 소개한 뒤 `꿈을 내일로 미루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우리는 아이들이 자라고 학교를 졸업한 뒤에, 대출금을 다 갚고 난 뒤에, 은퇴한 뒤에 진짜 인생을 살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삶을 즐기기에 적절한 때란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지금 이 순간이 바로 그때입니다`라고 설명을 더하는 식이다.

`영혼의 정원`은 케네디 수녀처럼 국내에서 종교인이자 시인으로 유명한 이해인 수녀가 전문번역가로 활동하는 친조카와 함께 번역해 눈길을 끈다.

아일랜드에서 `스탠`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스태니슬라우스 케네디 수녀는 1958년 아일랜드 자선수녀회에 입회한 이래 포커스 아일랜드`(Focus Ireland)라는 프로젝트를 운영해 집없는 이들이`진정한 집이라고 부를 수 있는 곳`에서 살 수 있도록 헌신하고 있다.

또한 2000년부터는 더블린 중심가에 `몸과 마음이 지친 이들을 위한 쉼터`를 열어 많은 이들에게 안식처를 마련해주고 있다. 이 밖에도 아일랜드와 유럽 등지에서 사회문제와 정책에 관한 강연과 연설을 하고 있으며 다수의 책과 기사를 쓰고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