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과거·현재 두루 아우르는 웅숭깊은 이야기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5-11-27 02:01 게재일 2015-11-27 13면
스크랩버튼
 `해질 무렵` 황석영 문학동네 펴냄, 200쪽
소설가 황석영(72)이 3년 만에 새 장편소설 `해질 무렵`(문학동네)을 발표했다.

이번 작품은 황석영 장편 소설 중 가장 짧은 560매 경장편으로 완성됐다.

소설은 성공한 60대 건축가 박민우와 아르바이트로 삶을 영위하는 20대 정우희의 이야기가 교차하며 전개된다.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인물의 이야기는 당시 사회상과 궤를 같이하며 묘하게 맞물려간다.

산동네 달골의 어묵장사 아들인 박민우는 일류대학을 나와 외교관의 딸과 결혼한다. 이후 건축가로 승승장구하던 그는 인생의 해질 무렵에서 문득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게 된다. 반면 정우희는 연극 연출이라는 꿈을 좇으며 아르바이트로 간신히 삶을 버텨내고 있다.

각각 과거와 현재 세대를 대변하는 두 주인공은 박민우의 첫사랑 차순아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얽혀간다. 차순아는 정우희가 만나던 남자의 엄마이기도 하다.

작가는 이번 소설을 `인생파 소설`이라 부르며 우리의 과거와 현재를 아우른다. 그는 두 주인공의 교차하는 내레이션 속에서 인생은 그 안에서 함께 살아갈 이들을 소중히 여기고 보듬었어야 하는 과정임을 강조한다. 그는 작가의 말에서 “개인의 회한과 사회의 회한은 함께 흔적을 남기지만 겪을 때에는 그것이 원래 한몸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며 “지난 세대의 과거는 업보가 되어 젊은 세대의 현재를 이루었다”고 의미심장한 말을 남긴다.

성공한 건축가 박민우는 인생의 해질 무렵에 서서 길 위에 드리워진 긴 그림자를 돌아보며 자신이 살아온 날들을 되짚어본다. 더는 변화할 무엇도, 꿈꿀 무엇도 없을 것 같은 그의 일상에 강아지풀 솜털 하나가 날아든다. 그 작은 씨앗은 그가 소년 시절를 보냈던 산동네 달골, 아스라한 그 시절 가슴 설레게 했던 소녀를 불러오고 달골에서 함께 부대끼던 재명이 형, 째깐이, 토막이, 섭섭이 형 같은 사람들을 불러내어 견고하게만 보이던 그의 세계에 균열을 일으킨다. 이제 서른을 바라보는 젊은 연극연출가 정우희는 반지하 단칸방에서 산다. 그녀는 음식점 알바와 편의점 알바를 뛰면서, 꿈을 이루기 위해 연극무대에 매달린다. 암담한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사랑을 꿈꾸기도 하지만 세상은 그녀에게 그럴 여유를 허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런 척박한 세상에 지쳐 젊은 날에 스스로 목숨을 버리는 “검은 셔츠”….

황석영은 육십대의 건축가 박민우의 목소리와 젊은 연극연출가 정우희의 목소리를 교차 서술해나가면서, 우리의 지난날과 오늘날을 세밀하게 그려낸다. 추억이 서린 골목들을 밀어내고 삭막한 구조물들을 올려온 지난 역사, 그리고 누추하고 서글픈 반지하방 세대의 삶이 쓸쓸하고도 먹먹하게 얽혀들며 우리의 마음속에 울려퍼진다.

언제나 시대를 직시해왔던 작가는 우리의 과거와 현재를 두루 아우르며 짧지만 웅숭깊은 이야기를 나직하게 들려준다. 그 역시 해질 무렵 길 위에 선 채, 우리의 삶과 역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는 듯하다. 인간의 삶이 집과 터를 넓히는 과정인 줄 알고 모두 그렇게들 달려왔으나, 실은 그 안에서 함께 살아갈 이들을 소중히 여기고 보듬었어야 하는 과정임을 깨닫게 되었노라고.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