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가 다시 시끄럽다.
총장 공석이 1년 이상 지속되면서, 교수회가 새로운 제안을 내놓는 등 학내 내홍의 조짐을 또 다시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경북대 총장 공석상태가 장기화되자 최근 교수회측은 총장임용 제청거부에 관한 대법원 판결을 기다릴 것인지, 총장임용후보자 재선출을 진행할 것인지를 묻는 투표를 하기로 하고, 부재자투표에 들어갔다.
교수회측은 “대법원 판결은 여전히 기약이 없고, 교육부는 재선정을 요구한 채 법적 절차를 진행하면서 임명하지 않겠다는 입장만 고수하고 있는 실정”이고 “(교수회) 평의회에서는 총장 공석사태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대학의 향후 진로에 대해 총투표 형식으로 전체 교수들의 총의를 묻기로 했다”고 밝혔다.
교수 총투표를 추진한 배경으로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C등급이라는 충격적인 성적표를 받았고, 의장단 간담회에서 총장부재사태를 더 이상 방치하거나 무작정 기다릴 수 없고, 사태 해결을 위한 방안 모색을 평의회에서 다뤄보자는 여러 의견이 나왔다는 것.
하지만 이에 대해 일부 교수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교수 20여명으로 구성된 `자율성 수호를 위한 경북대 교수모임`은 이번 투표가 위법이라며 대구지방법원에 총투표 금지 가처분을 신청했다. 교수모임은 “교수회가 총투표 시행을 정할 때 평의회 의결 정족수를 채우지 못한 데다 1순위 임용 후보자 김사열 교수 등의 의견을 듣지 않아 총투표 강행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몇몇 단과대 교수회는 총투표를 거부하기로 결의했다.
법원은 교수모임의 가처분 주장을 받아들여, 투표함 개봉을 불허가 했다. 이렇게 됨에 따라 투표함은 개봉도 못한채 현재 구청에 보관돼 있는 상태다.
결국 교수회의 주장은 명분을 잃으면서, 해프닝으로 끝난 셈이 됐다.
문제는 수장이 없이 표류하던 경북대의 사태가 내부분열로 인해 또한번 지역사회에 실망을 안겼다는 것이다.
이번 투표와 관련, 시민단체는 성명을 내고 “학내 혼란과 갈등을 야기하는 총투표를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었다.
사실 교수회의 이번 투표강행은 설득력을 잃었다는게 중론이다.
대학 총장을 교수회가 주축이 돼 뽑은 상태에서, 교육부의 제청거부로 총장공석 상태가 길어지자 새로 바꾸겠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것도 조그만 개인회사도 아니고, 최고의 지성과 학식을 겸비한 대학에서 이러한 사태가 발단됐다는 것에 수긍이 가지 않는 것이다.
총장부재로 인해 여러 불이익이 있는 등 문제점이 불거지고 있지만 현재 법적소송중이고 더구나 1심에서 현 김사열 총장이 승소했다. 2심은 내년 3월중에 나올 예정이고 여러 정황상 승소가 거의 확실한 진행중인 사안이다.
만약 교수회가 새로운 총장을 뽑아 임용을 받았다면 그후의 후폭풍은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당장 김사열 총장후보와 새 후보간의 법적공방이 벌어질 것이며 한 지붕 두 총장후보의 볼썽사나운 분쟁은 불을 보듯 뻔한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가 어려울수록 구성원들은 힘을 합쳐야 한다. 당장 힘들고 어렵다고 해서, 나무위의 사람을 흔들지 말고, 착실히 지상에 안착하도록 인내심을 갖고 도와줘야 된다.
정당한 절차에 의해 그것도 두 번씩이나 총장선거에서 1위를 한 후보를 흔드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설령 그 후보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이미 뽑은 이상 힘을 실어주는게 맞다.
더구나 김사열 후보는 정년이 2022년 2월로, 무려 7년 가까이나 남아 있어 이번 재판이 길어지더라도 차기 총장을 연임하는 데에 문제가 있어 보이지 않는다.
가정이 어려우면 어진 아내가 생각나고, 나라가 위태로우면 현명한 신하가 필요하다는 옛말이 있다.
경북대 구성원들은 어려운 때일수록 지혜를 모으고, 인내심을 가지고 현명하게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
다시는 이러한 분란으로 시민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지 않고, 과거의 명성을 찾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