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담장 허물고 자투리 공간 가꿨더니 녹색도시로 대변신

김락현기자
등록일 2015-10-28 02:01 게재일 2015-10-28 10면
스크랩버튼
`일천만그루 나무심기` 추가 달성한 구미시
▲ 책을 좋아한 소년상이 있는 철도변도시숲

구미시가 10년 장기 프로젝트로 추진한 `일천만그루 나무심기 운동`이 목표를 추가 달성했다. 그동안 구미시는 `일천만그루 나무심기 운동`을 위해 다양한 사업들을 시민들과 함께 전개해 왔다. 반대 여론도 많았지만 체계적인 계획과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나무심기를 하면서 시민들의 참여가 줄을 이었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지지에 힘입어 지난해까지 총 938만5천본의 나무를 식재하면서 목표의 93.4%를 달성하고, 올해 목표 추가 달성을 이뤄냈다.

남유진 시장 취임부터 10년동안 최역점 사업

오염물질 흡착 강한 나무 심어 공기정화 한몫

지역기업·시민 자발적 헌수, 기념식수 이어져

관리·제초 도맡는 `그린 오너제`까지 적극 동참

□ 일천만그루 나무심기 운동의 시작

일천만그루 나무심기 운동은 남유진 시장이 취임하면서부터 시작됐다.

남 시장은 구미시의 최대 문제점 중의 하나인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녹화사업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남 시장은 살기 좋은 구미 만들기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일천만그루 나무심기 운동`을 시정 최역점 시책사업으로 추진했다. 처음 `일천만`이라는 숫자 때문에 반대 여론에 부딪히기도 했다.

구미의 한 시민단체는 “그 예산으로 학생들 급식이나 하라”는 성명서까지 발표했었다.

하지만, 남 시장은 뜻을 굽히지 않고 묵묵히 사업을 순차적으로 진행시켜 나갔다. 우선 도심의 부족한 녹지를 확보하기 위해 담장허물기사업과 연도변의 자투리공간조성사업을 추진했다. 특히 담장허물기사업으로 시청의 높은 담장이 없어지고 나무가 우거진 공원으로 바뀌면서 시민들과 지역단체들의 참여가 이어지기 시작했다. 이렇게 `일천만그루 나무심기 운동`은 시청의 담장이 허물어지면서 시작되었다.

□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나무 심기

많은 지자체들이 나무를 심었다가 고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구미시도 이런 경험이 있었다. 식목일 행사에 심은 나무들이 고사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구미시는 사업이 시작된 2006년 8월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에 도시녹화계획을 맡겨 구미 전체의 녹지환경을 분석해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도록 했다. 그 결과를 토대로 구미 시내 주요 가로망과 광장, 녹지, 교통섬, 하천 등에 대한 도시녹화계획을 세우고,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추진해 나갔다. 또 일천만그루 나무심기운동에서 제일 중요한 나무의 생육환경 개선을 위해 임업시험연구원에 구미전역의 토양분석을 의뢰했다. 토양분석 결과 구미지역 대부분의 토양이 유기물량이 다량 포함된 산성토양으로 나와 구미시는 이에 맞는 식수를 식재하기 시작했다. 특히, 은행나무와 느티나무, 히말라야시다, 플라타너스 등 잎이 넓고 대기오염 흡착이 강한 나무들을 중심으로 식재하면서 도시 공기정화에 큰 몫을 담당하고 있다.

▲ 지산샛강<br /><br />
▲ 지산샛강

□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일천만그루 나무심기 운동이 확산되면서 시민들과 지역 기업들의 헌수와 식수가 이어졌다. 지난해까지 총 160건, 1만5천942본, 관심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시민들이 직접 심어진 나무를 관리하겠다고 나선 것. 구미시가 진행하고 있는 `그린오너제`에 많은 시민들과 지역단체들이 등록해 연도변에 심어진 가로수 등의 관리와 녹지의 제초작업 등을 도맡아 하고 있다. 현재 `그린오너제`에 17개 지역단체가 가입해 활동하고 있다. 구미시는 이러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힘입어 구미의 3대 도시숲을 탄생시켰다.

우선 구미시의 동쪽 관문으로 불법주차와 불법 쓰레기로 몸삼을 앓던 인동지역 도로변 시설녹지에 녹색자금 14억원을 포함한 3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폭 15m의 인동도시숲을 조성했다. 또 경부고속도로변 원평시설녹지 2㎞구간에 27억원을 투자해 나무와 개울이 있는 도시숲을 만들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어린시절 통학로였던 철로변 시설녹지에는 25억원을 예산을 투입해 철로변 도시숲을 조성하고, 박 대통령의 자서전의 내용을 토대로 `학교 가는 길`, `책을 좋아한 소년` 등의 조형물을 설치해 시민들에게 편안한 도시숲과 더불어 스토리텔링 거리를 조성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특히, 철도변 도시숲길은 일명 명품 가로숲길로 불리고 있다.

▲ 문성지
▲ 문성지

□ 정주여건 향상 평가 받아

일천만그루 나무심기로 인해 구미시민들은 걸어서 5분안에 공원이나 쉼터에서 쉴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

특히, 이 사업을 위해 진행된 담장허물기사업, 벽면녹화사업, 수벽조성사업, 장미식재사업, 학교숲조성사업, 연도변 자투리공간 조성사업 등으로 인해 구미시의 정주여건이 한 단계 도약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반영이라도 하듯 구미시는 각종 녹화사업 관련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입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시는 일천만그루나무심기운동을 시작하고 나서 2007년 제9회 대구·경북환경 문화상에서 `시청공원화`사업으로 대상을 수상하고, 이듬해인 2008년에는 전국 `녹색건전성평가`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어 2010년에는 제1회 녹색공간대상 특별상을 수상한데 이어 2012년에는 제6회 대한민국 조경대상에서 특별상, 산림청 주관의 `지자체 녹색도시 우수 공모` 장려상, 2013년도 전국 도시녹화운동 사례공모 최우수상, 2014년 녹색도시 우수사례 공모평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각종 대회와 평가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뒀다.

▲ 세로넷잎 가로수길
▲ 세로넷잎 가로수길

□ 시민 적극 참여가 성공 요인

구미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일천만그루 나무심기 목표를 추가 달성하면서 오는 11월 4일 기념행사를 시작으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시는 다음달 4일 금오산 대주차장에서 산림청장, 국회의원, 각 기관단체장과 구미시조경협회, 구미꽃예술협회, 나무사랑시민연합, 시민 등 1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목표 추가 달성 기념식을 갖는다. 이날 행사는 목표 추가 달성을 기념하는 표지석 제막식과 기념식수와 축하공연이 펼쳐지고, 일천만그루 나무심기 운동의 모습이 담긴 사진전 등도 함께 열린다. 또 내년 상반기까지 낙동강 체육공원에 1만㎡ 규모의 기업체 `헌수동산`을 조성하고, 오는 12월에는 경북도 환경연수원에서 도시녹화운동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일천만그루 나무심기 운동의 추진과정과 성과 등을 담은 화보집과 영상물, 홍보 리플렛을 제작해 일천만그루나무심기운동을 널리 홍보할 계획이다.

구미/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