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구경북에서는 `미술관`유치에 대한 찬반논란이 한 여름 이글거리는 태양만큼이나 미술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우리나라 사립미술관 중 최고의 소장품을 자랑하는 `간송미술관`이 대구에 분관을 짓겠다는 발표와 함께 대구시와 공식적인 협약을 맺음으로써 새로운 미술관 건립에 대한 기쁨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안동시는 한국현대미술의 대표적인 화가 중 단색조 화가로 유명한 하종현 화백의 미술관을 안동에 건립하겠다는 발표를 하면서 안동지역 미술인들로부터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지난해에는 `이우환미술관`을 대구에 건립하는 것에 대한 갈등이 여론화되더니 결국 무산되고 말았던 터라 `하종현 미술관`건립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사실 이러한 미술관 건립이나 유치에 관한 문제는 문화예술계의 지엽적인 문제처럼 비추어 질수도 있지만 이는 한 분야의 국한된 사안은 분명 아닐 것이다. 지역민들은 이제 `미술관`이라는 곳이 무엇을 하는 공간이며 왜 이러한 미술관이 지역에 필요한가에 대한 인식을 언론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미술관, 박물관이라는 용어 또한 언론을 통해 익숙해졌을 것이다. 몇 해 전 `신정아 사건`이 언론을 통해 세상에 알려지면서 `큐레이터`라는 용어와 직업세계에 대해 상세히 소개된 것처럼 말이다.
미술관·박물관이라는 용어가 일반인들에게 자연스럽게 불리기 시작한 건 아마 꽤 오래전부터 일 것이다. 하지만 그 공간에 대한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고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조심스런 의문이 든다. 미술품을 전시한다고 해서 모두가 미술관으로 불리어 지진 않기 때문이다. 엄격히 말해 부르는 용어에 따라 그 기능과 역할이 분명한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미술관`과 `박물관`이 미술품과 문화재의 수집과 보존, 전시, 연구 등의 기능을 하는 공간이라면, `화랑`, `갤러리`는 각종 미술품을 수집하거나 전시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기능도 있고, 상업적인 목적으로 작품구입을 원하는 수집가에게 판매한다는 커다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미술관이라는 용어는 서구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역사 또한 인류와 함께 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오래된 공간이다. 과거의 세속화된 신전을 시작으로 미적교회, 귀족의 보물창고 형태인 캐비넷과 갤러리, 근대적 이념의 공공박물관, 자본주의 시대의 문화논리로 대변되고 있는 미술관 제도의 변화와 흐름은 이제 일상이라는 개념으로 우리들에게 다가오고 있다. 이처럼 미술관은 오늘날 미술제도의 쟁점으로서 미술문화정책의 최종목표 중 하나가 되는 중요한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셈이다. 18세기 계몽주의와 함께 제도화되기 시작한 미술관은 박물관, 공연장, 도서관 등과 함께 국가의 문화적 역량을 집대성하는 기구 중 하나이다. 현대에 들어 미술관은 중요한 기능과 새로운 역할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미술문화 자체발전뿐만 아니라 미술관이 가지는 사회적 기능 또한 더욱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미술관은 근본적으로 미술품수집과 보존, 관리라는 학술 및 연구 기능과 사회교육 기능을 기초로 하고 있는데, 여가문화의 증대 및 문화 복지 증진 수요가 급속히 팽창하는 현대사회의 여건 하에서 미술관이 가지는 사회적 기능은 점점 더 증대되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미술관 정책을 즉흥적이고 선심성 공약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더 이상 사용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지역마다 어떠한 미술관이 운영되느냐와 그곳에서 어떠한 예술적 가치관이 형성되어 지역민들에게 예술적 감흥을 주느냐에 매우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