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 對 언론정책 바꿔야

등록일 2015-05-06 02:01 게재일 2015-05-06 18면
스크랩버튼
▲ 이창훈 대구본부 부장

경북도가 추구하고 있는 대 언론정책에 문제가 있어 향후 합리적으로 개선돼야 할 것이라는 여론이다.

경북도는 광역자치단체로 1년 예산만 하더라도 7조가 넘어가는 대단위 기관이다.이러다 보니 경북도에 출입하는 언론만 하더라도 60개가 넘는 등 방대하고 언론홍보예산만 100억원대가 넘어가는 등 엄청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향후 인터넷언론과 페이퍼 신문 창간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북도 등록 언론사도 증가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러한 홍보예산이 하나의 기관을 통해 질서정연하게 집행되는 게 아니고 말 그대로 주먹구구식으로 집행되고 있다는 게 문제다. 한두푼도 아니고 엄청난 액수의 시도민 혈세가 어느곳에서 어떤 용도로 집행되고 있는지 경북도 담당자도 정확하게 꿰뚫고 있지 못하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는 것이다. 특히 더더구나 경북도 간부와 언론의 친소관계에 따라 고무줄잣대로 예산이 집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의 시정이 요구되고 있는 것.

경북도 언론홍보예산중 매년 10월경 다음해 예산으로 편성하는 당초예산에 비해 실국별로 편성된 운영비지출이 특히 문제가 많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운영비는 해당 국과장이 집행할 수 있는 예산으로 출입언론사에 일괄적으로 배정하지 않고, 국과장과 친분있는 언론사에 일방적으로 배정하는게 큰 문제점이다.

경북도는 각 실국의 실정에 맞게 예산을 집행하라는 의미에서 해당 국과장에게 권한을 줬다고 말하고 있으나, 실제 운영은 합리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다보니 일부 언론사는 본연의 업무인 출입기관에 대한 올바른 홍보와 건전한 비판대신 국과장의 방을 찾아다니며 광고에 목을 매는 등 언론사 본질과는 동떨어지게 활동하고 있다.

언론사 출입기자가 할부 책장사처럼 비춰지고 있고, 경북도는 이러한 홍보비로 언론을 교묘히 통제하고 있다는 비판마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례로 홍보비라는 예산으로 언론을 길들여, 한해동안 건전한 비판기사가 한 꼭지도 나오지 않고 있는 언론도 부지기수다.

즉 홍보비로 언론사의 목을 죄, 언론을 좌지우지 하는 것 아니냐는 말들이 흘러나오고 있는 지가 이미 오래됐다.

또 언론사간의 홍보비 편차문제도 해결돼야 할 과제다.

일부 대형 언론사는 경북도에 과도한 예산을 요구하고 있고, 비슷한 규모의 언론도 로비능력에 따라 예산배정의 편차가 극심하게 드러나는 문제점도 시정돼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은 결코 어려운게 아니다.

언론홍보예산을 국과장에 주지않고 언론홍보부서인 대변인실에서 언론사의 사세에 맞춰 합리적으로 배정해 버리면 문제가 해결된다. 요즘은 한국ABC협회에서 매년 신문 잡지 등 출판물 발행부수를 공개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국가도 정확한 언론의 발행부수를 몰라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점을 파악, 언론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국ABC협회를 창립해, 어느정도의 근거가 나와있는 만큼, 제대로 활용하면 되는 것이다.

지난해 퇴임한 김범일 대구시장은 언론홍보예산과 관련, 의미있는 말을 남겼다.

“경북도와 경쟁관계에 있는 대구시가, 여러 정책들에 대해서 경북도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았다고 본다. 다만 언론홍보정책에서 졌다는 점은 자인한다”는 말을 남겼다.

즉 실국장이 상당한 권한을 갖고 언론을 통제하다 보니, 경북도는 그만큼 비판보다는 홍보용기사가 많이 생성되는 등으로 인해 대구시가 상대적으로 많은 손해를 입었다는 의미다. 한번 곱씹어 봄직하다.

여하튼 경북도도 향후에는 친소관계에 따라 언론사에 홍보비배정을 하는 관행을 끊고, 제대로 된 원칙에 따라 예산배정을 하기를 당부한다.

데스크칼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